[블록미디어 문정은 기자] 국내 대형 암호화폐 거래소들이 지분증명(Proof of Stake·PoS) 기반 암호화폐 위임 보상 서비스를 잇따라 내놓고 있다. 기존 수수료를 통한 수익모델에서 암호화폐를 활용한 ‘금융’서비스 사업으로 확장해가고 있는 것으로 업계는 해석하고 있다.
PoS 방식은 블록 생성을 위해 작업(Work)이 아닌 지분(Stake)을 기준으로 삼는 것을 말한다. 즉, 일을 하고 보상을 얻는 것이 아니라 ‘가지고 있음’으로 인해 블록 생성의 대상자가 된다. 당연히 많은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에게 더 많은 보상이 간다. 은행에 예치한 금액이 클수록 많은 이자를 받는 것과 비슷한 개념이다.
PoS 방식에서 본인의 보유량을 증명하기 위해서는 계속 컴퓨터를 켜둬야 하는 등 여러 불편함이 발생한다. 이를 해결한 것이 위임지분증명(Delegated Proof of Stake·DPoS) 이다. ‘위임’에서 알 수 있듯이, 해당 암호화폐를 보유한 사람들이 투표를 통해 네트워크를 운영할 대표자를 뽑아 노드를 운영하는 것이다. 대표적 예시가 이오스(EOS), 테조스(Tezos), 코스모스(ATOM) 등이다.
거래소들은 이러한 DPoS 기반 암호화폐 보유자들의 투표권 위임 참여 동의를 받아 노드 운영권을 얻어 수익을 창출하는 서비스를 열고 있다. 거래소는 노드를 운영함으로써 발생하는 수익을 위임에 참여한 이용자들에게 배분한다.
코인원은 암호화폐 수익 보상 서비스인 ‘코인원노드(Coinone Node)’를 내놓고 지속적으로 확대 개편하고 있다. 현재 위임 가능한 암호화폐는 테조스와 코스모스이다. 코인원은 ‘자동 위임 시스템’을 제공하고 있어, 코인원에서 해당 암호화폐를 보유하기만 하면 자동으로 위임 참여가 된다. 위임을 원치 않을 경우 다른 지갑으로 이동시켜야 한다.
블록체인 투자사 관계자는 “거래소 경우 보안이나 거래 운영 인력이 갖춰져 있고, 수수료로 인한 수익 창출 이외에도 사업 모델을 계속해서 확장하는 차원에서 ‘위임 보상 서비스’를 내놓고 있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어 “거래소 활성화뿐만 아니라 거래소 고객들이 해당 암호화폐를 다른 곳으로 옮기지 않고 거래소에 보관할 수 있게 유도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암호화폐를 보유만 하고 있어도 수익이 발생하는 만큼 이용자 측면에서도 찾는 이가 많다. 코인원 노드 설명에 따르면 코인원 거래소의 테조스 지갑에 ‘테조스’를 보유하기만 하면 최소 연 5% 이상의 보상 수익이 발생한다. 실제 코인원노드 출시 이후 6개월 동안 첫 번째 위임 지원 암호화폐인 ‘테조스’의 보유량이 3배 증가했고, 이용 고객 수는 2배 늘어났다.
다만 위임 기간 동안 거래를 할 수 없고, 위임을 해제하고 다시 거래를 재개하기 까지는 다소 시간이 걸린다. 이오스의 경우 지분 위임을 철회하면 3일 후부터 거래가 가능하다. 테조스는 네트워크 정책에 따라 21일 후부터 거래할 수 있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는 “투자자가 자신의 암호화폐 보유분을 기반으로 거래소 위임 보상 서비스에 참여하게 되면, 이를 해제하고 거래에 사용하기까지 며칠이 소요된다”며 “이 며칠 사이에 가격이 상승해도 매도할 수 없는 만큼 투자자들은 이 점을 인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러한 이용자 불편을 해결하고자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지닥’은 위임된 자산도 거래가 가능하도록 하는 ‘그로우(GROW) 위임 서비스’를 내놨다. 자산운용 알고리즘을 활용한 것이다. 지닥 관계자는 “특허받은 토큰운용 알고리즘을 통해 투자자들이 위임된 자산도 거래를 하거나 자산을 운용할 수 있도록 했다”며 “코스모스 네트워크 정책 상 위임 해제까지 21일이 소요되는데, 이 기간도 단축했다”고 설명했다.
업계는 개개인도 블록체인 프로젝트 생태계에 기여할 수 있는 길이 열렸다는 점에 대해 긍정적으로 보고 있다. 국내 블록체인 투자사 관계자는 “특정 블록체인 네트워크가 활발히 작동하려면 노드 참여자들이 있어야 하는데, 이러한 측면에서 개개인들이 거래소를 통해 네트워크 생태계에 참여할 수 있다는 점은 긍정적”이라며 “국내 블록체인 투자사들도 투자한 블록체인 업체의 생태계 확산에 기여하고자 투자사가 직접 노드 운영 비용을 지불하며 참여하기도 한다”고 밝혔다.
국내 암호화폐 거래소 관계자는 “지금까지 거래소 간 수수료 싸움으로 ‘거래’를 유도하는 점에 초점을 맞췄는데, 앞으로는 크립토 산업이 금융시장으로 성장하기 위해 필요한 좀 더 안정적인 금융상품을 고민하게 되는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장기적인 수익 모델로 봤을 때 은행이나 증권사 비즈니스를 따라갈 수밖에 없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빗썸도 위임 보상 서비스를 준비하고 있다. 빗썸은 빗썸 회사 보유분 500만개를 비트코인재단 의장이자 이오스 고래로 알려진 ‘브룩 피어스’에게 위임했고, 추가 공지를 통해 회원 동의를 받아 EOS를 추가 위임할 계획이다. 업비트를 운영하고 있는 두나무는 자회사 DXM을 통해 암호화폐 보상 및 대차 서비스를 내놨으며, 세부적 사업 계획에도 서비스형 스테이킹(Staking as a service·SAAS)이 포함됐다. SAAS는 보유하고 있는 암호화폐를 PoS 기반 블록체인 네트워크 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맡겨 놓기만 해도 암호화폐로 보상받는 서비스를 말한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유튜브: http://bitly.kr/9VH08l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