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신지은 앵커·문정은 기자] “디지털바우처 인프라를 구축해 ‘부산’과 함께 성장하는 은행이 되겠다.”
블록체인 규제자유특구로 선정된 ‘부산광역시’에서 BNK부산은행은 ‘디지털원장기반 지역경제활성화 서비스’ 사업자로 참여한다. 부산은행은 ‘디지털바우처’라고 불리는 지역화폐를 직접 발행하고 유통한다. 이를 통해 물류, 관광, 공공안전 등 지역 강점 산업과 금융을 유기적 연결하는 역할을 맡는다. 지역 환경에 기여하는 사람들에게 ‘보상’으로 디지털바우처를 활용한다.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고 공공 분야에도 기여하는 것이 이번 디지털바우처 인프라 구축의 목표다. <블록미디어>가 BNK부산은행에서 디지털금융부를 이끌고 있는 한정욱 부행장을 만나 얘기를 들어봤다.
– 블록체인 특구에서 사용되는 ‘디지털 바우처’는 기존 지역화폐와 무엇이 다른가.
“기존 지역화폐 같은 경우, 한 번 사용하면 소진돼버리는 형태다. 예를 들어 A가 해당 지역화폐를 가지고 가맹점에서 사용하면 (지역화폐를 발행 및 관리하는 곳에서) 원화로 가맹점에 지급 정산되고 쓰임이 종료된다. 순환되지 않는 것이다.
부산은행이 지급 보증하는 디지털바우처는 이와 다르다. 원화와 연동된 ‘스테이블 코인’ 형태로, 참여사들과 부산 시민이 전용 지갑에 보관하고 여러 가맹점에서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객이 디지털바우처로 결제하면 해당 가맹점은 이를 해당 월렛(지갑)에 보관하고 있다가 다른 가맹점에서 사용하거나 다른 사업을 위한 물품 구입에도 사용할 수 있다. 물론 가맹점 주가 원화 환전을 원하면 정해진 환전율을 통해 환전도 가능하다. 이처럼 디지털바우처가 지역 내에서 원활하게 순환할 수 있는 체계를 만들어 갈 것이다.”
– 환전율이 있는가. 스테이블 코인은 원화 1:1 연동 아닌가.
“디지털바우처는 부산시 정책 지원금을 받는다. 이는 디지털바우처 사용을 증진시키기 위한 인센티브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정책 지원금이 들어간 사업 부분에 이용자가 100원을 충전하면, ‘110원’으로 충전된다. 충전금의 10% 규모를 시에서 지원해주는 것이다. 그런데 이용자가 지원금 목적에 따라 이를 사용하지 않고, 110원을 다시 원화로 환전하길 원한다면 정책 지원금까지 환전해 주면 안 된다. 이처럼 지원금이 들어간 디지털바우처를 원화로 다시 환전할 시에는 정해진 환전 규칙에 따라 환전될 것이다. 디지털바우처 사용 출처와 목적에 따라 100% 환전일지, 일부 차감이 될지에 대한 규칙을 따라야 한다.”
– 디지털바우처 발행량이 정해져 있나. 어디까지 진행되고 있는지 궁금하다.
“아직 정해져 있는 것은 없다. 기반 기술인 블록체인 구축을 위해 관련 기술을 보유한 기업들로부터 제안을 받을 예정이다. 다만 내부적으로 스터디를 통해 기술 표준은 정해져 있다. 부산은행은 기업용 블록체인 하이퍼렛저 패브릭(Hyperledger Fabric)을 지향하고, 디지털 자산 호환을 대비해 이더리움 ERC-20 표준을 준하는 형태로 만들 것이다.”
– 부산 지역에서 디지털바우처가 활성화되면, 결국 원화를 대체하는 역할까지 하게 되지 않을까.
“원화 체계를 대체할 생각은 없다. 부산 지역에서만 통용될 것이고, 물류나 관광 등 부산의 정책적 의지를 담은 사업에 인센티브를 부여해 지역 경제를 활성화하는 목적을 갖는다.”
– 디지털바우처를 통한 지역 경제 활성화에 대한 쉬운 예시를 들어줄 수 있을까.
“부산이 지향하고 있는 물류와 관광 산업 가운데, 관광 측면을 예를 들어보자. 디지털바우처 인프라를 잘 구축해 놓으면, 해외 관광객들이 부산을 여행할 때나 부산 시민들이 제휴 맺은 해외 가맹점을 이용할 때 환전 없이 디지털바우처를 활용할 수 있다. 실제 동남아 지역 몇 곳과 제휴를 추진 중이다. 예를 들어 부산 시민이 태국 가맹점에 갔을 때, 환전할 필요 없이 부산은행 결제 앱을 통해 결제가 가능토록 하는 것이다. 태국 관광객이 부산 여행할 때도 마찬가지다. 암호화폐 관련 결제 앱을 사용하는 사람들도 부산에서는 디지털 바우처를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스왑(교환) 기능도 갖추게 될 것이다. 지역을 위한 사회 공헌활동에도 보상으로 디지털바우처를 제공할 수 있다. 부산은행은 친환경 경영을 위한 ‘그린뱅크(Green Bank)’를 실시하고 있다. 예를 들어 플라스틱을 수거해오면 부산에서만 사용할 수 있는 디지털바우처로 보상해주는 것이다. 재능기부를 하거나 CSR(사회공헌활동) 보상으로도 활용할 수 있다.”
– 부산은행이 왜 이 역할을 해야 할까.
“기업으로서 수익창출 목적보다 부산 지역 경제를 살리기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고, 부산 시민, 부산시와 함께 부산경제를 살리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그래서 사회 공헌활동 부분도 포함하는 것이다. 특히 지역화폐에서 중요한 것은 가맹점을 많이 보유하는 것인데, 부산 지역에만 가맹점 5만 개를 보유한 부산은행 간편 결제 시스템 ‘썸패스’를 이미 갖췄다. 썸패스는 VAN사 등 중간 결제사 없이도 은행과 가맹점 간 직접 거래가 가능한 구조다. 부산은행은 지역을 위한 인프라를 구축하며, 지역과 함께 성장하는 은행이 되고자 한다.”
– 부산은행뿐 아니라 다른 국내 은행들도 블록체인 활용이 늘고 있다. 왜 굳이 도입하려고 하는 걸까.
“지금은 블록체인이라고 하면 디지털 자산 등으로 보는 시선이 있지만, 원천적으로 보면 ‘분산원장기술(DLT)’이다. ‘원장’이라는 것은 장부를 의미하는데, 은행에 있는 통장 거래 내역들이 모두 원장이다. 이 원장을 분산된 형태로 관리하는 기술은 은행 업무를 더 효율화할 수 있다. 이런 측면에서 해외 은행들도 은행이 제공하는 ‘금융 서비스’를 빠르고 저렴하게 만들기 위해 분산원장 기술을 활용하는 것이다. 내부 업무와 서비스를 분산원장 활용하면 훨씬더 효율적으로 만들 수 있고, 더 나은 서비스를 만들 수 있다고 본다.”
– 부산은행은 블록체인을 담당하는 부서가 있는가.
“디지털 금융부가 새로운 업무를 한다. 그 안에 블록체인 사업팀을 만들었다.”
– 올해 들어 다른 은행들도 ‘디지털 자산’ 관련 보관 서비스 출시 계획을 밝히고 있다. 이에 대한 생각은.
“‘실사용 사례가 얼마나 명확하냐’에 따른 게임이라고 생각한다. 현재는 디지털 자산이라는 게 암호화폐 밖에 없고, 증권형토큰(STO)처럼 토큰화하겠다는 것도 전혀 안되고 있는 상황이다. 커스터디(보관 서비스)를 제공할 자산이 없는 상황에서 기술적으로만 준비하는 것으로 보이며, 실제 출시된다 하더라도 현실적으로 고려해야 할 것들이 많아 보인다. 오히려 은행들이 DLT 기술을 가지고, 기존의 은행 업무 절차를 개선하는데 집중하고, 디지털자산을 준비하는 접근이 유효하다고 생각한다. 이러한 측면에서 부산은행은 DLT 기반 지역화폐를 먼저 적용하고, 디지털 자산은 지향한다는 입장이다.”
– 디지털 자산 얘기가 나왔다. ‘디지털 금’으로 표현되는 비트코인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나.
“교환 가치보다 ‘투자 자산’으로서는 어느 정도 인정되고 있다는 해석으로 들린다. 실제 일부 국가에서는 비트코인을 투자자산으로 인정하고 있다. 하지만 활용 가치 측면에서 비트코인이 화폐로서 역할을 하려면 더 광범위하게 사용돼야 한다. 비트코인을 받겠다는 상점도 별로 없고, 가격 변동성 문제도 있다. 이 때문에 비트코인이 실생활의 교환 수단으로 들어오기 위해서는 인프라가 더 갖춰져야 한다. 앞으로 페이스북 리브라와 같은 여러 디지털 자산들이 나올 것이고, 이 부분에 대한 경쟁은 더욱 치열해질 것이라고 예상한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유튜브: http://bitly.kr/9VH08l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