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진배 기자] 최근 블록체인 업계엔 데이터주권이 핫하다. 분산ID(DID)를 통해 데이터 주권을 개인에게 돌려주려는 시도다. 이와 관련해 기술의 발전만큼 개인의 교육도 중요하다는 주장이 나왔다. 이밖에도 DID와 관련한 다양한 의견들이 논의됐다.
1일 서울 그랜드인터콘티넨탈 코엑스에서 열린 KBW 2019의 메인행사인 ‘D.FINE’에서 ‘데이터 주권과 DID’에 대한 토론이 열렸다. 토론의 좌장은 박훈 메타디움 CEO가 맡았으며 브리트니 카이저 DATA 공동창립자, 잔 딕코프 블록스탁 생산파트너, 캐롤라인 말콤 OECD 블록체인 정책센터장이 패널로 참석했다.
이들은 프라이버시와 데이터 주권에 대해 폭 넓은 토론을 진행했다. 개인 정보는 지금도 지속적으로 생산되고 있으며 자신도 모르게 공유되고 사용되고 있다는 것으로 시작된 이야기는 블록체인을 통한 데이터 주권 회복까지 이어졌다.
박훈 메타디움 대표가 어떻게 데이터 프라이버시에 대한 운동을 전개할 수 있을 지에 대해 묻자 브리트니 카이저 대표는 “유저 플랫폼이 어떤 의미인지, 기기를 사용한다는 것이 어떤 의미인지 아이들에게 교육하는 것이 중요하다”면서 “엔지니어가 아니더라도 데이터를 보호할 수 있는 방법을 알 수 있게 해야 한다”고 말했다. 잔 딕코프 블록스탁 파트너 또한 “기술이 복잡해지고 모호해지고 있는 상황에서 결실을 얻기 위해서는 유저 측면에서 교육이 필요하다”면서 “기술을 이용한 솔루션을 이해하고 그 가치를 이해해야 생태계에서 이용할 수 있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의 개방성, 투명성과 프라이버시 상충 문제에 대한 의견도 오갔다. 블록체인에서 어디까지 공개를 해야 하고 공유를 해야 하는지에 대한 문제다. 브리트니는 “개인들의 많은 데이터로 해결하지 못했던 다양한 사회문제들을 해결할 수 있다. 때문에 적절한 정보의 공개가 필요한데 개인의 선택에 맡겨야 한다”면서 “모든 것을 암호화해서 프라이빗하게만 하면 많은 문제를 해결할 수 없다. 투명성과 프라이버시 사이에 균형을 찾는 것이 중요하다”고 말했다.
새로운 개념인 DID에 대해 각국 정부가 할 수 있는 역할은 무엇이 있을지에 대한 고민도 나왔다. 캐롤라인 말콤 OECD 블록체인 정책센터장은 “DID가 가진 사회, 경제적 파급력은 물론, 기업, 개인들에게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도 살펴보고 있다”면서 “DID의 개념은 중앙화된 정부의 입장에서 생소한 개념일 수밖에 없다. 정부 차원에서 어떻게 DID를 통해 신원확인을 할 수 있을지, 개인 데이터가 어떤 영향을 미칠 수 있을지, 정부는 어떤 역할을 해야 하는지에 대해 연구를 진행 중이다”고 밝혔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유튜브: http://bitly.kr/9VH08l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