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김진배 기자] 2019년 블록체인 시장은 중국을 빼놓고 이야기할 수 없는 한 해였다. 글로벌 통화 패권을 차지하기 위한 중국의 중앙은행발행전자화폐(CBDC)부터 시진핑의 블록체인 굴기 그리고 암호화폐 금지까지. 업계를 들었다 놨다 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 시진핑 “블록체인이여 굴기하라”
2019년 10월. 중국의 시진핑 주석이 공식 자리에서 ‘블록체인’에 대한 발언을 쏟아냈다. 시 주석은 공산당 중앙정치국 총회에서 “블록체인을 핵심 기술의 독자적 발전을 위한 주요 돌파구로 삼아, 방향을 명확히 제시하고 투자를 늘리며 핵심 기술에 더욱 집중해 블록체인 산업의 혁신을 가속해야 한다”고 말했다. 블록체인을 주요 기술로 삼아 발전을 모색해야 한다는 주장이다.
업계는 시 주석의 발언을 통해 중국이 향후 블록체인 산업을 이끌어 갈 것이라는 해석을 내놨다. 국가 원수의 힘이 절대적인 중국이기에 시 주석의 발언이 큰 영향을 발휘할 수밖에 없다는 것이다.
당시 시 주석의 발언은 블록체인 기술의 발전을 주문한 것이었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탄생한 비트코인이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시 주석의 비트코인 굴기 소식이 알려지면서 비트코인은 하루 40% 이상 급등했다.
◆ 시진핑 “암호화폐는 여전히 NO”
시진핑의 블록체인 굴기 발언으로 비트코인이 급등하는 등 이상현상을 보이자 중국 정부는 곧바로 진화에 나섰다. 시 주석의 발언이 블록체인을 육성하는 것은 맞지만 암호화폐에 해당하는 발언은 아니라는 주장이다.
중국 기관지 인민일보는 칼럼을 통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를 분리하고 투기를 막아야 한다는 입장을 밝혔다. 인민일보는 주로 정치성을 띤 중요기사들과 정부 인사들의 연설, 정치적 해설 등이 실리는 신문으로, 중국 공산당의 공식 입장을 대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인민일보는 “블록체인과 암호화폐의 태생은 같지만 블록체인이 투기는 아니다”면서 “투기행위는 철저하게 막고 암호화폐를 통한 불법거래, 자금세탁 등의 행위는 엄격히 통제돼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중국에서는 중국 정부가 암호화폐 거래소를 통제하고 있다는 소문이 돌기 시작했다. 중국정부의 통제로 인해 대부분 중국 거래소의 상장이 막혔고 거래소들이 문을 닫을 위기에 처해있다는 것이다. 비슷한 시기 세계 최대 암호화폐 거래소 바이낸스의 상하이 사무실에 경찰이 급습했고, 이로 인해 사무실이 폐쇄됐다는 보도도 나왔다. 이후 바이낸스의 창펑자오 CEO는 즉각 트위터를 통해 “이는 사실 무근이며, 상하이에는 사무실도 없다”고 해명했지만 보도를 전한 매체가 “증거가 있다”면서 “추가 보도를 할 것”이라고 밝혀 진실공방이 이어지고 있다.
◆ 중국의 디지털 화폐 DCEP
2019년 6월. 페이스북이 글로벌 암호화폐 결제 플랫폼 리브라를 발표했다. 그리고 약 2달 뒤 중국은 CBDC 발행을 언급했다. 그리고 중국은 CBDC의 명칭을 DCEP(Digital Currency & Electronic Payment)라 부르며 독자적인 발행을 준비하기 시작했다.
중국이 DCEP 발행을 언급한 이후 빠른 속도로 관련 논의가 진행됐다. 황치판 중국국제교류센터 부이사장은 “중국은행이 세계 최초로 디지털화폐를 발행하는 중앙은행이 될 것”이라고 공언하며 DCEP 발행을 공식화했다.
중국의 이 같은 행보에는 글로벌 화폐 패권을 위안화로 가져오겠다는 야심이 숨겨져 있다. 현재 미국의 달러가 글로벌 기축통화가 된 것처럼 중국은 디지털 위안화를 ‘글로벌 가상 기축통화’로 자리매김하겠다는 의도다.
DCEP 시범 운영을 위한 지역도 물색 중이다. 현재 선전과 쑤저우가 유력하다. 선전의 경우 디지털 경제 혁신 시범도시로 지목된 곳으로, DCEP를 활용하면 다른 산업군과의 시너지 효과를 노릴 수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다만 구체적인 시기는 알려지지 않았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유튜브: http://bitly.kr/9VH08l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