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문정은 기자] 암호화폐를 활용한 서비스 사업을 내놓은 초기 국내 프로젝트들이 경영난을 겪고 있다.
◆ ‘규제·하락장·기술 장벽’에 휘청이는 서비스 프로젝트들
암호화폐 관련 초기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이 최근 인력 감축을 하거나 사업을 축소하는 등 자구책 마련에 나섰다. ‘도도포인트’ 개발사 스포카의 블록체인 프로젝트인 캐리프로토콜과 블록체인 게임 개발사 모스랜드부터 대중적 지갑 서비스를 내세웠던 비트베리까지 지난해부터 인력을 절반 가까이 감축하기 시작했다.
특히 자사 암호화폐를 팔고 이더리움 등 암호화폐를 투자금으로 받는 방식인 ICO를 진행했던 프로젝트들은 시장 하락장을 맞으면서 더욱 어려워졌다. 이들은 대개 2017년 말이나 2018년 초에 ICO를 진행했는데, 당시 이더리움 가격에 비해 현 시세가 대폭 하락한 상태다.
ICO를 진행했던 프로젝트 관계자는 “ICO를 했던 프로젝트들은 빚을 진 기분”이라며 “ICO를 해서 받은 코인 가격도 문제지만, 현재 이를 청산할 만한 거래처도 찾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그는 “차라리 현금 투자를 받았다면 비즈니스에만 집중할 수 있지만, ICO를 진행한 블록체인 프로젝트들은 자사 암호화폐 보유자들과의 커뮤니케이션에도 시간과 비용을 들여야 하는 상황”이라고 덧붙였다.
기술적으로도 미성숙한 단계에 머물러 있다. ‘대중화’를 위한 디앱을 기대하기에는 아직 블록체인의 기술 성숙도가 부족하다는 것이다. 게임 관련 국내 한 프로젝트 관계자는 “사람들이 이미 익숙한 앱이나 웹, 게임들이 갖춘 아주 기본적인 기능인 로그인, 데이터 전송 들에 블록체인 기술을 활용하고자 한다면, 해당 디앱은 당장 출시가 불가능한 수준”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특히 게임 시장이 활성화되려면 아이템 거래가 자유로워야 하는데 블록체인을 입힌 아이템마다 개발 규격 방식이 달라 애초에 이 거래 플랫폼 만드는 것 자체가 어려운 실정”이라고 설명했다.
당면한 기술적 문제를 해결했다고 해도, 정부 규제의 벽을 또 넘어야 한다. 실제 지난해 11월 블록체인 게임이 게임물관리위원회로부터 등급분류 ‘거부’를 당했다. 우연성에 의해 게임 결과가 정해지는 부분이 도박성과 사행성을 조장한다는게 거부 이유였다.
침체된 시장 분위기에서 프로젝트들이 활력을 잃자 신규 프로젝트 등장도 주춤해졌다. 블록체인 전문 투자사 관계자는 “기존에는 마케팅 사업도 했었지만, 이제는 이를 필요로 하는 프로젝트 자체가 없어 접었다”며 “원래도 암호화폐 시장 실수요자가 한정적인데 이 사람들마저 이탈하고 있다”고 토로했다.
◆ ‘서비스 시장성’ 증명할 수 있어야
업계는 초기 코인 프로젝트들의 위기 돌파구는 결국 기술력과 시장성을 증명하는 데 있다고 입을 모은다. 실제 자사 블록체인 프로토콜 기술을 앞세운 ‘블로코’나 ‘코인플러그’나 암호화폐 수탁 서비스와 노드 서비스 기술력을 보유한 ‘헥슬란트’ 등은 기관투자를 지속적으로 유치해 나가고 있다.
블록체인 보안업계 관계자는 “올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관련 법제화, 규제화가 갖춰지면 기존 기업들 사이에서도 이를 도입하고자 하는 사례가 늘어날 것”이라며 “결국 초창기 프로젝트들은 일부 도태되거나 축소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이어 “현재 이들은 향후 사업 방향이나 추가 자금 마련 등 살아남기 위한 방안을 진지하게 고민해야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일반 소비자용 B2C 서비스에 앞서 해당 서비스를 필요로 하는 기관 및 기업들과의 B2B 협업도 방안이 될 수 있다는게 업계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블록체인 프로젝트 관계자는 “초기 시장인 만큼 독자적인 비즈니스를 구축하려 하기 보다 블록체인 생태계 중 하나의 기업으로 자리 잡아나가기 위해 공공기관이나 기존 비즈니스 기업들과 협업해 B2C에 앞서 B2B 분야를 공략하는 것도 고려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특히 암호화폐를 활용한 서비스 사업에 대해 공급자 측면이 아닌 소비자 측면에서 수요가 확실한 블록체인 서비스 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업계는 강조한다. 표철민 체인파트너스 대표는 “사용자 행동을 유도하고 보상으로 코인을 지급하는 블록체인 서비스들은 ‘보상’이라는 개념보다, 기반 ‘서비스’가 일단 흥미롭거나 유익해야 서비스가 지속 가능한 점을 인지해야 한다”며 “서비스 수요가 늘어나지 않으면 시장을 버티고 서비스를 지속할지, 문제를 찾는데 집중할지 냉정하게 판단해야 할 때”라고 강조했다.
기사제보 및 보도자료 : press@blockmedia.co.kr
▶블록미디어 유튜브: http://bitly.kr/9VH08l
▶블록미디어 텔레그램: http://bitly.kr/0je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