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강주현 기자] 과학기술정보통신부(이하 과기부)가 서로 다른 DID(Decentralized Identifier, 분산신원증명) 협의체가 만든 서비스를 상호호환해 사용할 수 있는 ‘DID 통합 해석기’를 만든다고 14일 밝혔다. 업계에서는 점차 DID 상호호환 및 인증 논의가 본격화되고 있다.
14일 민가홍 과기부 디지털사회기획과 사무관은 웨비나로 진행된 ‘DID 얼라이언스 코리아 2020’에서 ‘비대면 경제 인프라로서 분산신원증명 생태계 활성화 정책’이라는 주제 발표에서 ‘DID 통합 해석기’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해석기를 사용하면 DID 모바일 앱이 비트코인, 이더리움, 소버린 등 각자 다른 네트워크에서 구축됐더라도 손쉽게 호환해 사용할 수 있다. 과기부는 내년부터 해석기를 적용하는 걸 목표로 삼고 있다.
이날 행사를 주관한 라온시큐어 관계자 설명에 따르면 해석기는 “서로 다른 DID를 상호 연계하기 위한 장치(Universal Resolver)”이다. 예를 들어 옴니원 증명서와 이니셜 증명서가 서로 호환되지 않으면 서비스 제공자 입장에서는 DID 서비스를 머뭇거릴 수밖에 없다. 특히 모바일 신분증은 사용 가능 여부가 달라지면 널리 확산되어 쓰일 수 없다.
따라서 기술적으로 옴니원 네트워크와 이니셜 네트워크의 증명서를 서로 인식해 DID 서비스가 널리 도입되도록 하기 위해 만든 것이 해석기이다. 옴니원과 이니셜 이외에도 코인플러그의 마이키핀 얼라이언스, 아이콘루프의 마이아이디 얼라이언스 등 다양한 DID 연합체에서 개발한 서비스가 상호 연계되도록 돕는다.
마이키핀 얼라이언스 관계자는 해석기에 대해 “한국인터넷진흥원이 주축이 되어 만든 DID 협의체를 중심으로 2, 3개월 전부터 논의하던 내용”이라며 “아직 해석기가 필요하다는 공감대를 형성한 정도이며 개념 정립을 하고 있는 단계”라고 말했다. 그에 따르면 해석기는 뚜렷한 실체를 갖추지는 않은 상태이다.
민 사무관은 발표에서 “내년부터 전 산업 분야에서 DID 개발 및 인프라 구축 시 상호호환이나 인증이 가능하도록 이해관계자 간에 준수해야 하는 표준 규격, 기술·보안 등의 준수사항을 안내하는 ‘DID 기술 및 표준화 포럼’을 만들었다”고 말했다. 해당 포럼은 지난 7월 킥오프 회의를 시작으로, 지난 8월에는 포럼 논의 안건 및 규정을 정립했다. 지난 달에는 포럼 창립총회를 추진했다.
과기부는 지난 7월부터 공공·민간 DID 생태계 활성화를 위해 관계부처와 전문기관, 기업이 참여하는 민관 합동 DID 협의체를 구성해 운영하고 있다. 이 협의체는 지난 16일 킥오프 회의를 가졌다. 현재 운영위원회와 사무국 산하 정책 분과, 산업 분과, 기술표준화 분과로 구성되어 있다.
민 사무관은 ‘DID 통합 해석기’ 사용 시나리오를 채용을 위해 학위증명서를 발급하는 과정를 예로 들며 설명했다. 먼저 기업은 구직자의 학위증명서 진위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발행기관에 이를 요청한다. 발행기관은 사용자와 대학 내 블록체인에 기록된 학위증명서를 검증하기 위해 검증기관에 이를 요청한다. 검증기관은 이 과정에서 DID 통합 해석기를 사용해 DID 검증정보를 요청하고 사용자의 전자서명을 검증한다. 해석기는 서로 다른 플랫폼 간의 연동을 지원하기 때문에 사용자의 정보가 각자 다른 블록체인 상에 기록되어 있어도 각각의 블록체인 상 정보 검색과 검증정보 전달 등을 지원한다.
그는 “내년 하반기부터 사람의 자격증명을 넘어 전자계약, 사물 제어 등 혁신적인 DID 서비스를 발굴하기 위한 시범사업을 추진할 계획”이라며 “DID를 활용한 비대면 진료, 비대면 전자계약, 사람과 사물 또는 사물과 사물간 DID 인증을 통한 사물인터넷 환경 조성 등”에 대해 언급했다. 또 “내년부터 우리 DID 기술의 국제표준화 등을 위해 표준화 포럼을 신설하고 표준적합성 검증을 지원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