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강주현 기자] 건강보험심사평가원 심사평가연구소는 “블록체인 기술이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 보건의료분야에서 다양하게 활용될 수 있다”고 말했다.
28일 연구소는 ‘블록체인 적용사례 및 활용을 위한 기초연구’ 수행 결과를 발표하며 이와 같이 말했다. 연구소는 블록체인이 여러 참여자가 데이터를 분산원장기술로 기록해 위·변조가 불가능하다는 점을 높이 샀다. 특히 보건의료분야에서 포스트 코로나 시대를 맞아 디지털·비대면화가 가속화되면서 블록체인 기술이 다양한 영역에서 활용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심사평가연구소는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성 및 이점을 파악하고 국내 보건의료분야에 적용 가능성, 선제적 도입의 필요성 등을 검토하여 적용 기반을 마련하기 위해 연구를 수행했다. 이번 연구에서 국내·외 공공 보건의료분야를 중심으로 블록체인 적용사례를 유형화했다. 유통이력관리, 건강데이터의 안전한 관리와 공유, 스마트 컨트랙트를 이용한 행정 절차 간소화, 블록체인 기반 분산신원증명(DID) 등이 그것이다. 또 연구소는 블록체인의 기술적 특성을 바탕으로 블록체인 적용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는 COVID-19 관련 도입 적절성, 구축 필요성, 수용성, 구체성, 혁신성 기준 등의 지표를 제시했다.
연구소는 블록체인 기술 적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되는 영역을 발굴하여 각각의 적용 모형안과 기대효과를 제시했다. ▲ 블록체인 기반 의약품 도매업체 현황관리 ▲ 블록체인 기반 개인 주도 의료정보 플랫폼 ▲ DID(분산신원증명) 연계를 통한 인증절차 간소화, 서비스 간편 이용 등이다. 각 분야에 있어 연구소는 “블록체인을 이용한 데이터 공유로 행정절차 간소화, 의약품 허가 취소 등 문제발생 시 신속 대처 가능하고 비용 절감, 의료정보의 안전성 향상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또 블록체인 기반 DID를 연계해 심사평가원의 ‘내가 먹는 약 한눈에’ 등 인증절차 간소화로 국민편의 증대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연구소는 “이번 연구는 보건의료분야에 블록체인 기술 적용 가능성을 검토한 기초연구로, 향후 블록체인 도입 시 유형화한 실사례(Usecase)를 참고해 기술 적용의 적절성을 평가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제시했다는 점에서 의의가 크다”고 자평했다. 단, 새롭게 제시 된 업무(안)을 동시에 추진하는 것은 현실적인 제약이 있기 때문에 본격적인 사업화 검토는 가시적인 성과 창출 가능성 등을 면밀히 분석하여 단계적인 접근이 필요하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