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강주현 기자] 가상자산 공시 기업 쟁글이 ‘상장 브로커’ 역할을 해왔다는 논란에 휩싸였다. 은행연합회는 논란에도 불구하고 쟁글 평가를 권고한 가상자산 거래소 평가 가이드라인을 유지할 전망이다.
쟁글의 신뢰도와 역할에 의문이 제기된 상황에서 은행연합회가 모르쇠로 일관하고 있다는 비판도 제기된다.
지난 27일 서울경제 디센터는 쟁글의 리스팅 매니지먼트 계약서를 입수해 쟁글이 거래소 상장 지원을 명목으로 프로젝트에게서 수 천만 원의 돈을 받아왔다고 보도했다.
쟁글은 “상장 심사 과정에 관여하지 않았고, 상장 성공 명목으로 수수료를 받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쟁글은 해당 서비스가 “상장 심사를 위해 접수해야 하는 자료 작성 및 문서 검증, 근거 자료 실사를 바탕으로 감사 의견을 제출하는 (컨설팅) 서비스”라고 말했다.
# 이해 상충 논란
쟁글이 제공하는 서비스는 크게 보면 ▲공시 ▲신용평가 ▲리스팅 매니지먼트(컨설팅) 등 3가지다. 코빗, 고팍스 등 거래소에서는 상장 프로젝트들에 쟁글 신용평가서를 받아 제출할 것을 요구한다. 이 때 비용은 수 천 만원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프로젝트 신용평가와 컨설팅 또는 상장 중개 역할을 병행하는 것은 이해 상충이라는 지적이다. 컨설팅 수수료를 받은 프로젝트에 대해 신용평가를 공정하게 할 수 있겠느냐는 것.
# 은행연합회 모르쇠 일관
은행연합회 이광진 법무팀장은 블록미디어에 “가이드라인 중 고위험 코인 평가 항목에서 쟁글을 언급한 것은 쟁글이 가장 유명한 가상자산 평가 기관이기 때문이다. 해당 가이드라인 내용을 이미 시중은행들에 다 설명했고, 가이드라인은 법적 구속력이 있는 게 아니기 때문에 별도로 내용을 바꿀 계획은 없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일각에서는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해도 쟁글에 이러한 구설수가 발생했다면 신뢰성이나 역할 자체에 문제가 있는 것이므로 가이드라인을 수정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은행연합회가 앞장서서 가이드라인을 수정해 논란이 되는 업체 이름을 가이드라인에서 삭제하거나, 대안을 제시해 문제를 해결해야 하는 게 아니냐는 것. 당초 특정 업체가 가이드라인에 등장하는 것 자체가 특혜가 아니냐는 의혹도 제기된다.
# 신뢰성 문제…은행연합회 무책임 지적
쟁글 보고서를 인용하라는 조항을 유지한다면 쟁글이 리스팅 매니지먼트 등 컨설팅을 진행한 프로젝트인 경우 해당 사실을 명시할 것을 요구하는 추가 조항이라도 필요하다는 것. 쟁글 외에 복수의 평가 기업을 등재하는 것도 대안이 될 수 있다.
은행연합회가 쟁글의 신뢰성이 논란이 되는 상황에서 현 가이드라인을 고수함으로써 무책임하다는 비판에 직면하게 됐다.
# 업계 “가이드라인 무시 어렵다”
한 거래소 관계자는 “은행연합회 가이드라인이 법적 구속력이 없다고 해도 (실명계좌 발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은행들에) 가이드라인이 그렇게 내려간 이상 무시하기는 어렵다”고 말했다.
쟁글과 거래하고 있는 고팍스의 관계자는 쟁글 신용평가서를 받는 이유에 대해 “프로젝트 상장을 결정하는 내부 시스템은 외부에 공개하지 않아 고객들 입장에선 신뢰하기 어려울 수 있다. 쟁글의 평가 구조는 고객도 알 수 있다. 그래서 상장에 있어 크로스체크 차원에서 쟁글 신용평가서를 받고 있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쟁글의 신뢰성 자체가 논란이 된다면 투자자들이 쟁글의 평가를 액면 그대로 받아들일 수 있을지 미지수다.
같이 읽으면 좋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