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시카고상품거래소(CME)의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이 7000 개에 육박하는 등 3주 연속 증가했다.
미결제약정 증가를 주도한 것은 헤지펀드 등이 속한 레버리지 펀드 투자자 그룹이다.
미국 상품선물거래위원회(CFTC)가 20일(현지시간) 공개한 17일자 자료를 보면 CME 비트코인 선물 미결제약정은 6960 개로 전주 대비 532개 증가했다.
뮤추얼펀드, 자산운용사, 연기금 등이 포함된 에셋 매니저 그룹의 미결제약정은 롱 포지션이 672(+43) 개, 숏 포지션이 311(+36) 개였다.(괄호안은 전주 대비 증감) 롱-숏 순 미결제약정은 361(+7)였다.
헤지펀드 등이 포함된 레버리지 펀드 그룹의 미결제약정은 롱 포지션이 2292(+297) 개, 숏 포지션이 5542(+429) 개였다. 롱-숏 순 미결제약정은 -3250(-132) 개로 숏 포지션 우위가 이어졌다.
CME의 비트코인 미결제약정은 투자 주체별 롱, 숏 포지션을 보여주는 유일한 데이터다. CFTC는 매주 화요일 기준 데이터를 금요일 발표한다.
비트코인 미결제약정은 이로써 3주 연속 증가세를 이어갔다. 월가 기관 투자자들의 비트코인 투자 강도가 높아지고 있음을 반영한다.
에셋 매니저 그룹의 미결제약정 증가 대비 레버리지 펀드의 증가 폭이 더 큰 것은 비트코인 가격이 상승세를 이어가면서 헤지펀드들이 비트코인 투자에 더욱 적극적이라는 것을 시사한다.
레버리지 펀드 그룹에 속한 헤지펀드 등 공격적 기관 투자자들은 비트코인 선물 숏 포지션 우위를 지속하고 있다. 이것이 현물 매수와 병행한 헤지 포지션인지, 비트코인 하락에 베팅하는 것인지 속단하기 어렵다.
에셋 매니저 그룹의 장기펀드들은 통상 현물 비트코인 매수-선물 숏 포지션을 동시에 들고 가는 경향이 있다. 이 같은 헤지 매매가 활발할 경우 순 미결제약정은 마이너스를 기록하게 된다.
에셋 매니저 그룹의 순 미결제약정은 7월 초부터 플러스로 돌아섰고, 최근 미결제약정 증감도 정체돼 있다. 이는 에셋 매니저 그룹에 속한 장기 투자 성향의 기관 투자자들이 현물 비트코인 축적을 마무리하고, 추가 매수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고 풀이할 수 있다.
같이 읽으면 좋을 기사
월가 스마트웨일은 정말 비트코인을 사고 있을까?(ft. CME 미결제약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