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최근 기술 업계에서 성장 전략의 새로운 축으로 여겨지는 ‘메타버스(가상세계)’ 분야를 둘러싼 과도한 낙관론에 대해 경계감을 요구하는 지적이 제기됐다.
24일(현지시간) 마켓워치는 메타버스의 정의와 수혜 전망에 대해 물어보면 각기 다른 답이 나오는 등 아직 혼란스러운 상황이라며 규모 전망은 상이하고 각 회사가 구축한 플랫폼에 따라 시장이 분리될 수 있다는 전망도 나온다고 보도했다.
메타버스는 ‘메타(고차원)’과 ‘유니버스(우주)’를 조합한 조어다. 사용자 각자의 취향으로 치장한 아바타(분신)로 교류하거나 함께 작업하는 가상세계를 뜻한다. 고글형 가상현실(VR) 기기 등을 통해 이용한다.
페이스북의 새로운 사명 메타 로고 [사진=로이터 뉴스핌] |
메타버스에 대한 관심은 페이스북이 사명을 ‘메타’로 바꾸고 올해에만 관련 분야에 100억달러를 투자한다고 하면서 뜨겁게 달아올랐다. 엔비디아나 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이 분야에 뛰어든 상태다. 엔비디아 주가는 연초 이후 2.5배가 올랐다.
# 애플, 구글 주도 스마트폰 체제를 뒤집을 수 있다
일각에서 메타버스는 애플과 구글이 주도하는 ‘스마트폰 체제’를 뒤집을 분야로 평가된다. 메타버스를 애플의 iOS나 구글의 안드로이드 같은 운영체제와는 무관하게 작동하는 환경으로 만들 수 있기 때문이다.
전문가들은 메타버스가 이상적으로 작동하려면 ‘개방성’과 ‘호환성’이 담보돼야 한다고 입을 모은다. 메타버스는 가상세계에서의 자유로운 왕래 및 정보 교류가 핵심인 까닭이다. 페이스북이 사명 변경 당시 개방성을 강조한 것도 이런 맥락에서다.
# 플랫폼별로 분리…개방적 공간 형성 힘들수도
일부는 메타버스가 이런 이상적 방향으로 흘러가지 못하고 플랫폼별로 분리될 수 있다는 전망을 제기한다. 각기 다른 개인정보 보호 정책이나 주도권을 잃지 않으려는 대형 기술 기업 간 다툼 등으로 모두를 위한 ‘개방적인 공간’ 형성이 힘들 수 있다는 얘기다.
ZK리서치의 제우스 케라발라 선임 분석가는 “페이스북은 애플스토어가 가진 폐쇄성에 대해 경계하지만 업계의 과거 행보를 보면 결국엔 자신만의 벽으로 둘러싸인 정원(폐쇄된 플랫폼)을 갖게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이와 관련 3D 가상 플랫폼 개발회사 마이타버스의 케니 란다우 공동 창립자는 “페이스북이나 마이크로소프트 같은 대기업이 메타버스를 모두가 사용할 수 있는 포괄적인 공간으로 만들어야 한다”고 조언했고, 기술 미래학자 캐시 해클은 “어떤 회사도 메타버스를 소유해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 시장 전망도 제각각
메타버스 시장 규모를 둘러싸고도 각기 다른 전망이 나온다. 어디까지를 메타버스 분야로 정의할지 등에 관해 구체적인 개념 확립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이 이유다. 현재 메타버스에 대한 투자자들의 기대감이 앞서 나갔다는 지적이 나오는 배경이기도 하다.
블룸버그인텔리전스는 2024년까지 8000억달러에 이를 것으로 전망헀고, 게임 플랫폼 회사 로블록스는 메타버스의 TAM(판매가능한 최대시장 규모)을 모바일·스트리밍 콘텐츠·소셜미디어로 나눠 각각 최소 2000억달러로 봤다.
또 캐나다 조사회사 이머전리서치는 블룸버그와 비슷한 8290억달러로 예상했지만 실현 시점을 4년 더 늦은 2028년으로 전망했다. 모간스탠리는 메타버스의 미국 TAM을 무려 8조달러로 전망했다. 이에 대해 마켓워치는 “막연하다”고 지적했다.
# 범용화까지 상당 시일 걸릴 것
메타버스 범용화에는 상당 시일이 소요될 것이라는 게 전문가들의 견해다. 메타버스 내 재산 소유권 규정 등 세부적인 가이드라인 마련은 물론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불신은 해결해야 할 숙제다. 스마트폰에 익숙한 소비자의 생활 방식도 장기화 전망의 이유로 거론된다.
교류형 스트리밍 기술 개발업체 젠비드테크놀로지의 제이콥 나복 최고경영자는 “5년 안에 VR 기기가 스마트폰을 대체할 가능성은 거의 제로(0)”라고 말했다.
같이 읽으면 좋을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