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김제이 기자 = 증권사를 비롯한 시중은행들의 가상자산(암호화폐) 신사업을 위한 준비 작업이 분주하다.
사업 수익성을 높이기 위한 일환으로 은행들은 차기 정부에 은행의 가상자산 진출을 허락해달라고 요청했으며, 증권가에서는 가상자산 사업 전담을 위한 회사를 세우기까지 했다.
10일 가상자산 업계에 따르면 최근 은행연합회는 윤석열 대통령 당선인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제출용으로 작성한 ‘은행업계 제언’ 보고서를 통해 은행의 가상자산 서비스 진출 허용을 요청했다.
업비트 같은 가상자산 거래소나 가상자산 보관 전자지갑 서비스,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커스터디) 등 가상자산업에 포함되는 사업을 은행도 할 수 있게 해달라는 것이다.
그동안 은행들은 직접적으로 가상자산 사업에 참여하지 못하고 지분투자를 통해 간접적으로 가상자산 관련 사업을 진행해왔다. 현행 은행법으로는 가상자산 사업을 직접 영위할 수 없기에 합작법인 설립, 지분 투자 방식으로 커스터디(수탁업) 사업을 하고 있다.
KB국민은행은 지난해 블록체인 기업 해시드와 함께 가상자산 커스터디 서비스사 ‘코다(KODA)’를 설립했다. 신한은행은 커스터디 사업을 하는 한국디지털자산수탁(KDAC)에, NH농협은행은 가상자산 위탁관리 합작법인 ‘카르도’에 전략적 투자를 단행했다.
증권사들도 빠르게 가상자산 거래소와 커스터디 사업을 추진 중이다. SK증권은 지난해 코인거래소 지닥을 운영하는 피어테크와 함께 디지털 자산 커스터디 업무협약을 맺었다. 올해 초에는 부동산 기업 펀블과 블록체인 기반 부동산 디지털 유동화 시스템을 구축했다.
미래에셋그룹은 자회사 미래에셋컨설팅을 통해 가상자산 사업 전담을 위한 법인 설립을 진행 중이다. 신설 법인을 통해 블록체인 지갑을 개발하고 운영하고 커스터디 서비스도 운영할 예정이다.
삼성증권은 블록체인 기반 증권형 토큰(STO) 사업 진출을 계획 중이다. STO은 부동산, 미술품 등 실물자산을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토큰화한 것이다. 소유자는 지분, 이자, 배당금 등의 권리를 행사할 수 있어 주식과 유사하지만 적은 금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고 투자 방식 자체도 간단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화투자증권은 지난해 블록체인 업체인 두나무 지분 6.14%를 인수했다. 두나무는 국내 1위 가상자산거래소인 업비트의 운영사다.
해외 금융권에서는 이미 가상자산 관련 상품을 내놓기도 했다. 글로벌 투자은행(IB) 골드만삭스는 월스트리트 대형 은행 중 최초로 비트코인 파생상품 거래를 시작했다. 골드만삭스는 지난달 가상자산 금융회사 갤럭시디지털과 손잡고 비트코인 가격 연동 파생상품 ‘비트코인 차액결제’ 장외거래를 시작했다.
이처럼 금융권에서 가상자산 사업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려는 이유는 수익성 강화가 주된 요인으로 꼽힌다.
무려 80%를 웃도는 영업이익률을 기반으로 한 암호화폐 거래소들의 이익 규모는 대형 증권사를 넘어섰으며, 시중은행마저 위협하고 있다. 지난해 하나은행 영업이익은 3조4184억원, 신한은행은 3조5867억원을 기록하며 두나무의 영업이익과 비슷한 수준을 나타냈다.
김형중 고려대 정보보호대학원 특임교수 및 한국핀테크학회장은 지난 7일 국민가상자산평가인증(국가평) 세미나를 통해 “기존 금융기관들이 가상자산사업에 투자하고 싶어 하지만 금융당국의 압력 때문에 투자를 못 하는 일이 비일비재하다”며 금융기관들의 가상자산 투자 활로를 열어줘야 한다고 밝혔다.
◎공감언론 뉴시스 jey@newsis.com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