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 기준금리 1.5%로 인상…만장일치 결정
통화정책 완화정도 적절히 조정…추가인상 시사
올해 연간 물가 4% 근접…대응하지 않을 수 없어
“중립금리 이상 수준으로 올릴 필요는 없어”
“스태그플레이션 이라고 할수는 없어”
“시장 변동성 과도시 국채 추가 단순매입”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주상영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의장 직무대행이 올해 물가가 연간 4%대에 근접하는 등 물가압력이 장기화 될 것으로 예측돼 기준금리를 인상했다고 밝혔다.
또 통화정책의 완화정도를 조정하겠다고 밝히는 등 추가 인상도 내비쳤다. 반면 중립금리 수준 이상으로 인상할 필요가 없다고 못 박으면서 기준금리 인상 속도가 조절될 수 있음을 시사했다.
주 직무대행은 14일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1.25%에서 1.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이날 금통위는 사상 처음으로 총재 공석 속에서 열린 가운데, 주 위원이 의장 직무대행으로 회의를 주재했다.
기준금리 인상 결정도 금통위원 6명 전원 만장일치로 이뤄졌다.
주 직무대행은 기준금리 인상 배경에 대해 “지난 2월 말 금통위 이후에 우크라 사태 등 대내외 경제금융 여건에 큰 변화가 발생했는데 특히 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해 물가상승 압력이 예상보다 장기화될 가능성도 있겠다는 판단이 들었다”며 “한은 총재 공석임에도 불구하고 대응하지 않을 수 없었다”고 말했다.
금통위는 의결문에서 “앞으로 성장세 회복이 이어지고 중기적 시계에서 물가상승률이 목표수준에서 안정될 수 있도록 하는 한편 금융안정에 유의해 통화정책을 운용해 나갈 것”이라며 “대내외 여건의 불확실성이 상존하고 있으나 국내경제가 회복세를 지속하고 물가가 상당기간 목표수준을 상회할 것으로 예상되므로, 앞으로 통화정책의 완화 정도를 적절히 조정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이 과정에서 완화 정도의 추가 조정 시기는 코로나19의 전개 상황, 금융불균형 누적 위험, 주요국 통화정책 변화, 지정학적 리스크, 성장·물가 흐름 등을 면밀히 점검하면서 판단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따라 연말까지 기준금리를 2~3차례 더 인상하는 등 추가 인상 가능성이 높아지고 있다.
주 직무대행은 소비자물가에 대해 “당초 2분기가 지나면 소비자물가가 정점을 찍고 내려갈 것으로 예상했는데 우크라이나 사태 이후로는 언제가 정점이 될지 확실히 예단하기 힘들다'”며 “대략 연간으로 4%나 그에 근접한 수준으로 상승률이 올라갈 것이라고 보고 있다”고 내다봤다.
그는 “소비자물가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이 국제유가인데 국제유가가 높지만, 상고하저의 흐름을 보인다면 그에 맞춰 물가도 조정할 수 있다”며 “.높은 수준을 계속 유지할 것으로 보이지만 연말께 조금 낮아질 수도 있다. 다만 국제유가 및 원자재 가격, 곡물가격 이런 것들이 어떻게 전개 되느냐에 따라 달려있다”고 말했다.
출고일자 2022. 04. 14
|
[서울=뉴시스]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가 14일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1.25%에서 1.50%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그래픽=안지혜 기자) hokma@newsis.com |
스태그플레이션(경기침체 속 물가급등) 우려가 나오고 있는 것에 대해서는 선을 그었다.
그는 “성장률이 지난 2월에 전망한 3%보다 다소 성장세가 낮아지겠지만 적어도 2% 중후반 정도는 될 것으로 보고 있다”며 “물가 상승률이 4%정도라 높기는 한데 이 정도로 성장한다면 물가가 다소 높더라도 스태그플레이션이라고 말할 수는 없을 것 같다”고 말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이 기준금리를 중립금리 이상 수준으로 올릴 것이란 예측이 나오고 있는 가운데 우리나라도 중립금리 이상으로 올릴수 있냐는 질문에는 “그럴 상황은 아니다”고 못박았다.
중립금리는 경기를 과열 또는 위축시키지 않는 적정 수준의 금리를 뜻하는데 기준금리 결정을 할 때 주요 잣대 중 하나로 꼽힌다.
그는 “미국의 경우 노동시장이 완전고용에 가까운 상태인데 물가상승 압력이 굉장히 높아 중립금리 이상으로 금리를 높일 필요가 있다”며 “반면 우리나라의 경우는 적어도 현재의 판단으로는 그 이상 수준으로 올려야 될 정도의 한계 상황은 아니다”고 강조했다.
시장은 현재 우리나라의 중립금리 수준을 2.5%정도로 보고 있다. 연말 기준금리 수준이 2.5%로 보고 있는 것은 과도하다고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분석된다.
미 연준의 한 차례 이상 0.5%포인트 기준금리를 올리는 ‘빅스텝’ 가능성에 내외금리차가 역전될 것이란 우려에 대해서는 “내외금리차가 축소 또는 역전 되더라도 대규모 자본유출 가능성은 낮다”고 평가했다.
그는 “미 연준의 급격한 금리 인상이 원·달러 환율에 상승 압력과 동시에 자본 유출 압력을 발생시키는 것은 사실”이라면서도 “한국 경제 성장세가 양호하고 경상수지 흑자도 이어지고 있다는 점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할 때 한국경제 펀더멘탈이 양호하기 때문에 금리차 축소 혹은 역전이 자본 유출 압력을 높인다고 해도 대규모 유출 가능성은 매우 낮다고 보고 있다”고 말했다.
현재 미 연준의 기준금리는 0.25%~0.5%, 한국의 기준금리는 1.5%로 상단이 1.0%포인트 차이가 난다. 연준이 한차례 이상 빅스텝을 예고한 만큼 연내 내외금리가 역전될 수 있다.
최근 국고채 3년물이 8년 4개월 만에 3.0%를 돌파한 것에 대해서는 “시장 금리 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때 언제든지 단순매입할 준비가 돼 있다”고 말했다.
그는 “단순매입을 할 때 장기물의 비중이 높았던 건 사실이지만 3년물도 일부 포함해서 매입했다”며 ” 시기 등을 사전에 정해서 말씀드리기는 어렵지만 이 경우에도 단순매입을 할 때 시장금리변동성이 과도하게 확대될 때 한해 한시적으로 매입하겠다”며 이 같이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