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가 26일 기준금리를 연 1.75%로 인상했다.
한은 금통위는 이날 오전 서울 중구 한은 본부에서 금통위 정례회의를 열고 기준금리를 현재의 연 1.5%에서 1.75%로 0.25%포인트 인상했다.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은 소비자물가가 5%에 육박한 등 고공행진을 지속하고 있고, 미국 통화당국의 긴축 속도가 빨라질 것이라는 우려가 커지고 있기 때문이다.
금통위는 코로나19 위기 이후 사상 최저 수준인 연 0.5%까지 낮췄던 기준금리를 지난해 8월과 11월, 올해 1월, 4월 네 차례에 걸쳐 각각 0.25%포인트씩 인상해 연 1.50%로 올린 바 있다. 지난 4월 금통위에서는 만장일치로 연 1.50%로 인상했다.
이번 금통위는 이창용 한은 총재의 취임 이후 첫 번째 금통위다. 취임 후 첫 금통위에 기준금리를 올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 지난 2017년 금통위 횟수가 연 12회에서 8회로 축소된 이후 기준금리를 연속 인상한 것은 지난해 11월과 1월에 이어 이번이 두 번째다.
[서울=뉴시스] |
당초 시장에서는 이번 금통위가 숨고르기 차원에서 동결할 것이란 전망이 더 많았다. 이후 물가 우려가 커진데다, 이창용 한은 총재의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인상하는 ‘빅스텝’ 발언으로 금리 인상 쪽으로 옮겨갔다.
중국의 경제 둔화로 국내 성장 모멘텀도 약해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지만, 성장보다는 물가를 더 고려한 것으로 판단된다. 물가가 더 뛰어 오를 경우 대응이 늦어 실기했다는 논란이 불거질 수도 있다.
실제 소비자물가는 5%에 육박했다. 올해 1월부터 4월까지 누적 물가 상승률은 4.1%로 이미 한은 연간 전망치(3.1%)를 훌쩍 뛰어 넘었다. 특히 4월 물가가 전월(4.1%) 수준을 상당폭 상회한 4.8% 오르면서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인 2008년 10월(4.8%) 이후 13년 6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기록했다.
향후 1년간 물가가 더 오를 것으로 보는 이번 달 기대인플레이션율도 전월(3.1%)대비 0.2%포인트 높아진 3.3%로 2012년 10월(3.3%) 이후 9년 7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을 나타냈다. 지난 1년간의 소비자물가에 대한 체감상승률을 뜻하는 ‘물가인식’도 3.4%로 전월(3.2%) 보다 0.2%포인트 올라 2013년 1월(3.4%) 이후 가장 높았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긴축 속도가 빨라져 한·미 금리가 역전될 것이란 점도 영향을 미쳤다. 한미 금리가 역전되면원화가 약세를 보이고, 외국인 자본이 대거 유출될 수 있다.
아직까지는 한은이 코로나19 팬데믹 이후 5월을 포함해 다섯차례 기준금리를 올려 미국과의 금리 차이를 벌려 놓은 상황이다. 이날 0.25%포인트 인상으로 일단 미 연준 기준금리(0.75∼1.0%)와 격차는 상단이 0.75%포인트로 커졌다. 하지만 미 연준이 이미 6,7월 기준금리를 0.5%포인트 올리는 ‘빅스텝’을 단행할 것임을 예고한 상황이다. 한은이 다음번 금통위인 7월 기준금리를 동결하고 미국이 남은 다섯차례의 회의 기간(6월, 7월, 9월, 11월, 12월) 중 6, 7월 빅스텝을 단행하면 한미 기준금리가 역전된다.
가계부채는 정부의 가계대출 관리 강화와 대출금리 상승 등의 영향으로 사상 처음으로 감소 전환했지만 아직 안심하기엔 이르다. 한은에 따르면 올 1분기 말 금융권 전체 가계대출은 전분기보다 1조5000억원 감소한 1752조7000억원으로 집계됐다. 가계대출이 감소한 것은 2002년 4분기 관련 통계 편제 이후 처음이다. 다만, 4월 들어 다시 증가 전환하는 등 가계부채 감소 기조가 이어질지는 아직 미지수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