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리스크 1년 내 현실화 가능성 12.5%→26.9%금융리스크 1년 내 현실화 가능성 12.5%→26.9%
[서울=뉴시스] 류난영 기자 = 국내외 경제·금융전문가들이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을 가장 위협하는 요인으로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 상승 압력’을 꼽았다.
한국은행이 30일 발표한 ‘2022년 상반기 시스템 리스크 서베이 결과’에 따르면 국내외 금융·경제 전문가들은 물가 상승 압력과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등을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선정했다. 한은이 4월 27일~5월 13일 국내외 금융기관 임직원, 금융·경제관련 협회 및 연구소 직원, 대학 교수, 해외 금융기관 한국투자 담당자 등 80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의견을 조사한 결과다. 주요 리스크는 전문가들이 꼽은 5대 위험요인 중 응답비중이 50%를 넘는 것이다.
단순 응답빈도수 기준으로 가장 많이 지목된 것은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으로 전문가 79.9%가 지목했다.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는 절반 이상인 55.4%가 응답해 2위에 들었다. 이밖에 가계의 높은 부채수준(43.8%),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41.2%), 시장금리 급등(33.5%),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21.9%) 등이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하반기 조사 당시 순위권에 들었던 ‘부동산 시장의 불확실성’, ‘글로벌 자산 가격의 급격한 조정’은 주요 리스크 요인에서 제외됐다. 물가상승 압력(55.4%→79.9%),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41.9%→55.4%), 시장금리 급등(24.3%→33.5%)이 응답률이 상승하면서 주요 리스크 요인으로 부각했다.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52.7%→43.8%)이 소폭 하락한 가운데 러시아-우크라이나 사태로 인한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는 신규 리스크 요인으로 선정됐다.
전문가들이 1순위로 꼽은 리스크 요인으로는 원자재 가격 상승 및 글로벌 공급망 차질 등에 따른 물가상승 압력으로 전체의 34.2%가 선택해 가장 높은 응답 비중을 보였다.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15.2%),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11.4%), 시장금리 급등(10.1%) 등의 순으로 나타났다.
주요 리스크 요인 중 물가상승 압력, 주요국의 통화정책 정상화, 지정학적 리스크 확산, 시장금리 급등, 금융시장 변동성 확대는 대체로 단기(1년)에,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은 중기(1~3년)에 위험이 현재화 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분석됐다.
특히 물가상승 압력, 주요국 통화정책 정상화, 시장금리 급등 등은 발생 가능성이 높고, 발생시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도 큰 것으로 조사됐다. 가계의 높은 부채 수준은 금융시스템에 미칠 영향력이 크지만 금융불안으로 이어질 가능성은 상대적으로 낮은 것으로 나타났다.
금융시스템 리스크가 1년 내 단기에 현실화될 가능성은 지난 조사때보다 상승한 것으로 평가했다. 단기 발생 가능성이 높다고 응답한 비중이 지난번 12.5%에서 26.9%로 상승한 반면, 낮다고 응답한 비중은 38.8%에서 32.1%로 소폭 하락했다.
중기(1~3년)에 금융시스템에 충격이 발생할 가능성이 높다는 응답 비중은 32.9%로 지난 조사(36.1%) 때보다 소폭 하락했다. 낮다는 비중은 25.0%에서 25.3%로 비슷한 수준이었다.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에 대한 신뢰도(향후 3년간)는 매우 높음(1.3%), 높음(51.9%) 또는 보통(43.0%)으로 응답한 비중이 전체의 96.2%를 차지하는 등 지난 조사(99.0%)에 비해서는 소폭 낮아졌으나 여전히 높은 수준으로 조사됐다.
전문가들은 우리나라 금융시스템의 안정성을 높이기 위한 시급한 과제로 물가안정, 가계부채 및 부동산시장 안정화, 금융기관의 자산건전성 관리 등을 꼽았다.
전문가들은 통화정책 완화 수준의 축소에 대해 시장에 분명하고 일관된 신호를 전달하는 등 효율적인 통화신용정책을 통해 물가 상승세를 억제하고 기대인플레이션을 낮출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또 정책당국이 가계부채 증가세를 억제하는 가운데 부동산 시장 안정화 정책 및 실수요자 중심의 지원이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이와 함께 완화적 금융여건이 정상화되는 과정에서 취약차주를 중심으로 신용위험이 증대될 수 있는 만큼 금융기관은 충당금 적립, 자본확충 등을 통해 손실흡수 능력을 제고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정책당국도 취약계층 중심의 선별적 지원 등 선제적 관리방안을 마련해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