고용보다 물가 우선순위 의미
더 높은 금리 인상 가능성 근거
파월 의장, 22일 의회 청문회 출석
[서울=뉴시스] 임종명 기자 =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40년 만에 최고 수준인 인플레이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무조건’ 물가 회복을 하겠다고 밝힌 문서가 발견됐다.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는 22일(현지시간) 연준이 지난 18일 의회에 제출한 70페이지 분량의 반기별 통화정책 보고서에 이 같은 내용이 담겼다고 보도했다.
FT는 이러한 약속에 연준이 정책을 펼침에 있어 무엇을 우선순위에 두느냐에 대한 의구심은 해소됐지만, 이 ‘무조건’적인 목표를 이루기 위해 코로나19 팬데믹(세계적 대유행) 이후 경기 회복이 희생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고 했다.
연준은 지난해 인플레이션율이 오르기 시작할 때만 해도 안정적인 물가와 최대 고용이라는 이중적 의무 중 고용시장 안정부터 우선하겠다는 입장을 보인 바 있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은 이날 경제 상황에 관한 두 차례의 의회 청문회 중 첫 번째 청문회에서 의회 의원들을 만나 안정적인 물가와 최대 고용이라는 이중적 의무를 어떻게 달성하고자 하는지에 관한 질문과 맞서야 할 것이다.
그의 청문회 출석은 지난 15일 연준이 1994년 이후 가장 큰 폭의 금리 인상을 실시함으로써 치솟는 물가를 억제하기 위한 노력을 극적으로 강화한 상태에서, 또 백악관이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노동시장에 대한 기대를 관리하려는 상황에서 진행되는 것이라 주목받고 있다.
조 바이든 미 대통령은 이번 주 기자들과 만나 재닛 옐런 미 재무장관과 브라이언 디스 국가경제위원회 국장의 발언을 되뇌며 “불황은 불가피한 것이 아니다”라고 밝힌 바 있다.
이 발언은 래리 서머스 전 재무장관과의 대화에 이어 나온 것인데, 서머스 전 장관은 지난해 대통령의 경기부양책은 물론 연준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부추긴다고 비판했고, 이제는 고물가와 싸우면서 나타날 수 있는 경기 침체에 대해 경고했다.
서머스는 지난 20일 “인플레이션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5년간 5% 이상의 실업률을 기록해야 한다”고 말했다.
다수 경제학자가 희망적이라고 공언했던 3월의 전망에 비해 지난주 연준이 발표한 최근의 전망은 인플레이션을 낮추기 위해서는 경기 둔화가 필요할 것이라는 점을 분명히 인정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그들이 경제를 냉각시키려는 노력이 경기 침체로 이어질 것이라는 점을 암시하는 데 그치지 않았다는 점이라고 WSJ은 전했다.
현재 대부분의 관리는 기준 금리가 내년 말까지 약 3.75%까지 정점을 찍을 것으로 예상한다. 핵심 인플레이션은 4월 기준 연간 4.9%에서 2023년 2.7%로 둔화되고 있다.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 카렌 다이넌은 “연준은 벅찬 과제를 안고 있다”며 “지난 1년간의 경험을 통해 더 큰 고통 없이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는 게 현실적일 지에 대한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파월 의장은 특히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과 중국의 코로나19 봉쇄책으로 인한 공급망 붕괴 장기화 등 외부 세력이 인플레이션 압력을 악화하면서 소위 연착륙을 달성하는 길이 더 어려워졌다는 것을 인정하는 데까지 이르렀다.
그는 지난주 기자회견에서 “더 분명한 것은 우리가 통제하지 못하는 많은 요소가 그것이 가능한지 아닌지를 결정하는 데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하리라는 것”이라며 “인플레이션이 통제되고 있다는 강력한 증거가 나올 때까지 연준은 공격적인 정책을 밀어붙일 것”이라고 강조했다.
연준 관계자들은 다음달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한 차례 더 금리를 올릴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하기 시작했다. 이에 시장 구성원들은 더욱 긴축에 대비하고 있다.
연준이 이달 17일 발표한 추정치에 따르면 연준이 지침으로 삼는 이론적인 정책을 근거하지만 기계적으로 따르지는 않는다. 현재의 경제적 배경을 고려할 때 금리는 4~7% 사이여야 인플레이션을 억제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jmstal01@newsis.com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