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암호화폐 하드 월렛(지갑)을 판매하는 렛저(Ledger) 대변인은 “암호화폐 회사의 파산, 계정 동결과 해킹 공격이 계속되면서 암호화폐 사용자들이 보안에 점점 더 관심을 기울이고 있으며 이로 인해 하드 월렛의 판매가 급증했다”고 밝혔다는 소식입니다.
렛저 대변인은 “최근 대출 플랫폼, 크로스체인 브리지 해킹, 솔라나(Solana) 지갑 취약점 등의 문제로 하드 월렛 수요와 판매가 늘었고, 셀시우스(Celsius) 파산 이후 렛저의 판매액이 4.5배 증가했다”고 말했습니다. 셀시우스 파산 덕분에 매출이 늘었다는 소식은 처음 아닌가 싶네요.
# 지난주 USDC 유통량, 10억 달러 이상 감소
21일 공식 데이터에 따르면 8월 12일부터 19일까지 스테이블 코인 USDC 발행사 써클(Circle)은 총 15억 달러의 USDC를 발행하고 26억 달러 규모의 USDC를 회수함으로써 USDC 유통량이 10억 달러 이상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토네이도 캐시가 미국 재무부의 제재 리스트에 오르자 USDC 발행사인 써클은 제재에 동참하면서 44개의 주소를 동결시켰습니다. 이는 커뮤니티의 거센 바발을 불러왔는데요. 그 여파로 지난주 USDC의 상당한 자금이 USDT 발행사인 테더로 이동하고 있다는 소식도 나온 바 있습니다.
한편 8월 19일 기준 USDC의 총 유통량은 528억 달러, 준비금은 529억 달러(현금 109억 달러, 미 국채 420억 달러)인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애플, 아이폰·아이패드 일부 모델 심각한 보안 결함 발견
AP통신의 보도에 따르면, 애플의 아이폰과 아이패드 일부 모델에 심각한 보안 취약점이 발견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애플은 지난 17일 자사 일부 제품에 2건의 보안 취약점이 보고됐으며 이것이 악용될 수 있다는 공지를 내놨습니다.
이번에 문제가 된 제품은 아이폰 6S와 그 이상 버전이며 아이패드 프로의 모든 모델, 아이패드 에어2 이상, 그리고 아이패드 5세대 이상 등이라는 설명입니다. AP 통신은 보안 전문가의 말을 인용해 애플이 공지한 보안 취약점이 해커가 해당 기기에 대한 모든 관리자 권한을 가질 수 있는 수준이라고 분석했습니다.
1. FTX, 작년 매출 2020년比 10배 증가…”10억 2천만 달러’
2. 유명 쉐프 고든 램지, 더샌드박스와 메타버스 판 ‘Hell’s Kitchen’ 만든다
3. 100 ETH 이상 보유 주소, 16개월 최고치 기록(글래스노드)
4. 美소비자금융보호국, 잭 도시 소유 ‘캐시 앱’ 조사 강제 집행 요청
5. 상반기 웹3 분야 해킹 등 피해액 19억 달러…Defi서 가장 많은 피해 71%(청두페인)
6. 크로스체인 브릿지 로닌 해커, 훔친 자금 6.25억 달러 이더리움 → BTC 네트워크로 옮겨
7. 북한 해킹그룹 라자루스, 가짜 코인베이스 구인 광고 포함된 .pdf 발송(테크타임즈)
8. “영국, 스테이블 코인 등 디지털자산 지불 규제 범위에 포함할 수도”(코인데스크)
9. 모스크바 최대 증권거래소, 연말까지 디지털 금융자산 기반 상품 출시 예정(비트코인닷컴)
10. 기재부 “암호화폐 에어드랍도 과세 대상 될 수 있어”(연합뉴스)
11. 위메이드, 유니세프에 100년 동안 1억 달러 위믹스 기부(아시아경제)
12. FTX CEO “FTX, 미 FDIC 보험 가입 안 돼있다”
13. 도지코인 공동 창업자 간 불화…빌리 마커스, 잭슨 팔머 트위터 차단(유투데이)
14. 미 유나이티드텍사스뱅크 CEO “스테이블코인 발행, 은행 업무로 제한해야” 주장(코텔)
15. 셀시우스 CFO “운영 자금, 연말까지 사용할 만큼 충분”(코인데스크)
16. 갤럭시디지털 “일부 NFT 프로젝트, 지적재산권 침해 문제 소홀”(디크립트)
17. 유동성 위기 호들넛, 테라 사태로 1.9억 달러 손실(팻맨 트위터)
18. 테더 감사보고서 발표, 2Q 어음 58% 줄고, 은행 예금 32% 늘었다
19. 美 연준, 9월 금리 50bp 인상 확률 58.5%(CME “Fed Watch”)
20. 세계은행 “70~80년대와 유사한 부채 위기 리스트 높아지는 중”
세계은행(World Bank) 수석 이코노미스트이자 전망팀 담당 이사인 아이한 코세(Ayhan Kose)는 “현재 글로벌 중앙은행의 금리가 예상보다 빠르게 오르고 있고 금융 상황이 더욱 빠르게 타이트해지고 있다”고 말했습니다.
동시에 그는 “코로나19 대유행으로 인한 원자재 가격 상승과 공급 차질로 인해 경제 성장이 둔화되고 인플레이션이 치솟는 문제가 발생함에 따라, 1970년대와 1980년대와 유사한 부채 위기의 위험이 높아지고 있다”고 지적했다는 소식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