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최현호 기자 = 최근 국내 증시 부진이 이어지면서 증시안정펀드(증안펀드·증안기금)를 투입해야 한다는 여론이 높아진 가운데 과거 투입된 증안펀드들은 그 효과가 명확하지 않다는 분석이 나왔다.
15일 KB증권 등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과거 국내에서 증안기금이 조성된 사례는 1990년, 2003년, 2008년, 2020년으로 총 4번이었다.
먼저 1990년 증시 하락 때는 증안기금이 증시 반등을 만들어내지 못했다. 당시 저달러·저유가·저금리 호황이 끝난 뒤 증시가 40% 가까이 폭락하자, 정부는 5조원에 가까운 증안기금을 투입했다. 하지만 증안기금 조성 후에도 약세장은 약 2년 간 더 이어졌다.
무분별한 신용카드 발급으로 이른바 ‘카드대란’이 발생했던 2003년의 경우엔 증안펀드 투입 이후 증시가 반등에 성공했다. 하지만 당시 전반적인 상황을 보면 실질적인 증시 반등의 요인은 증안펀드라기보다는 카드종합대책 발표와 불확실성을 해소할 수 있는 미국 부시 대통령의 이라크 최후통첩이었던 것으로 분석된다.
실제로 당시 증안펀드 자금 집행 이후 30거래일 간 국내 증시는 꾸준히 하락했다. 하지만 카드종합대책과 부시 전 대통령의 최후통첩이 나오자 증시는 반등에 성공했다.
2008년 금융위기 때도 증안펀드가 집행돼 일정한 효과를 본 것으로 보이지만, 당시에도 다른 요인이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당시 증안펀드 집행 직후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는 프레디맥(미국 주택담보대출 업체)으로부터 6000억달러 규모의 채권과 MBS(주택저당증권)를 인수하는 조치를 발표했다. 또 증안펀드 집행 뒤 얼마 되지 않아 미국 행정부가 내놓은 ‘모기지 대책’도 증시 반등의 시점과 겹친 것으로 나타났다.
당시 증안펀드 집행 이후 증시가 반등하긴 했지만, 근본적인 해결책에 가까운 그외 다른 요인들의 효과가 더 컸다는 해석이 가능한 것이다.
하인환 KB증권 연구원은 “수급적인 효과를 무시할 수는 없겠지만, 결국 증시의 추세를 만드는 것은 증안펀드가 아닌 ‘근본적인 문제 해결책’이라면서 “증안펀드 그 자체보다 오히려 더 주목해야 할 점은 바로 ‘정책 대응의 서막’이 가까워지고 있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코로나19 사태가 발생한 2020년의 경우 증안펀드가 조성됐지만 집행되진 않았다. 당시엔 연준의 양적완화 정책과 미국의 재정정책, 유럽 코로나19 신규 확진자 추이 정점 확인 등이 증시 반등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wrcmania@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