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예상 성장률 0.4%…실업률은 4.5% 전망
#”침체 기간은 8개월로 비교적 짧아”
#이콘들 내년 말 또는 2024년 1분기에 ‘피봇’ 예상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좀처럼 잡히지 않는 물가로 연방준비제도(연준)의 고강도 긴축이 예상보다 길어질 수 있다는 우려가 커지면서 시장은 이제 피봇(정책기조 전환) 기대를 완전히 접고 침체에 본격 대비하는 모습이다.
최근 실시된 서베이에서 이코노미스트들과 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모두 내년 중 침체가 발생할 것으로 확신했으며, 고용 시장에도 한파가 불어닥칠 것으로 내다봤다.
다만 이들은 연준의 긴축 지속에 따른 침체 기간이 그리 길지는 않을 것으로 예상했고, 내년 말 이후에는 연준이 금리를 다시 내려야 할 것으로 점쳤다.
◆ “美 침체 가능성 98%”
지난주 공개된 컨퍼런스보드의 CEO 서베이에서 미국 내 CEO들 중 향후 12~18개월 내 경기 침체 가능성에 대비하고 있다고 답한 응답자는 무려 98%에 달했다. 유럽 내 CEO들의 경우 동일 응답 비율이 99%로 미국을 넘어섰다.
연준 부의장을 지낸 로저 W 퍼거슨 주니어 컨퍼런스보드 이사는 “미국과 유럽에서 CEO들이 이제는 거의 불가피한 경기 침체에 대비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대다수의 CEO들은 그나마 미국 침체의 경우 기간이 짧고 정도도 얕을 것으로 기대했지만, 유럽의 경우 응답자 10명 중 약 7명 꼴로 침체 수위가 높고 전 세계 파장도 심각한 수준일 것으로 예상했다”고 덧붙였다. 미국 경기 침체가 글로벌 파장을 초래할 정도로 심각할 것이라 판단한 CEO는 전체의 13% 정도였다.
서베이에 참여한 CEO들 중 경기가 6개월 내로 개선될 것으로 점친 응답자는 단 5%에 불과했고, 81%는 4분기 경기 전망이 이전보다 더 악화됐다고 답했다.
현재 경영 최대 도전과제가 무엇인지를 묻는 질문에 CEO의 34%는 정치 및 정부 불안정을 꼽았고, 17%는 에너지 접근 및 안보 문제, 15%는 지속되는 러시아와 우크라이나 간 전쟁을 꼽았다.
같은 날 월스트리트저널(WSJ)이 공개한 서베이에서도 응답 이코노미스트들은 1년 내로 침체가 발생할 확률을 63%로 제시했다. 지난 7월 서베이에서의 49%보다 대폭 늘어난 응답 비율이다. 매체는 특히 침체 가능성이 50%를 넘긴 적은 2020년 7월 이후 처음이라고 강조했다.
WSJ 서베이에서 이코노미스트들은 내년 1,2분기에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마이너스를 기록할 것으로 예상했다. 이전 분기 서베이에서 완만한 성장을 점친 데서 대폭 후퇴한 것이다.
이코노미스트들은 평균적으로 내년 1분기 GDP 성장률이 전년 대비 0.2% 위축되고, 2분기에는 마이너스 0.1%를 기록할 것으로 내다봤다. 앞서 7월에는 내년 1분기 0.8%, 2분기 1% 성장이 각각 예상됐었다. 내년 한 해 예상 성장률은 0.4%로, 2024년에는 1.8%로 제시됐다.
WSJ 서베이에서 역시 침체 기간은 짧을 것으로 예상됐다.
내년 침체 가능성이 50% 이상이라고 답한 이코노미스트들의 평균 예상 침체 기간은 8개월로, 2차대전 이후 평균 침체 지속 기간인 10.2개월보다 짧았다.
◆ 물 건너간 ‘연착륙’…내년 말 이후 피봇 예상
이코노미스트들의 58.9%는 이제 연준이 금리를 너무 많이 올려서 불필요한 경기 침체를 초래하게 됐다고 판단했다. 지난 7월 경착륙 전망은 45.6% 정도였다.
제프리스 수석 이코노미스트 아네트 마코스카느 “금리 인상과 강달러로 인해 뒤늦게 나타나는 여파가 상당하다”면서 “이는 내년 GDP 성장의 2.5%포인트를 갉아먹을 것”이라면서 “이 상황에서 미국이 어떻게 경기 침체를 피할 수 있겠는가”라고 반문했다.
물 건너간 연착륙 전망과 더불어 내년 미국 노동시장에 대한 우려도 커지고 있다. 고용주들은 내년 2분기와 3분기에 성장 둔화 및 순이익 감소에 대응하기 위해 일자리를 줄일 것으로 예상됐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비농업부문 일자리 수가 내년 2분기 중 월 평균 3만4000건이 줄고, 3분기에는 3만8000건이 매월 줄어들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 서베이에서 내년 2, 3분기 중 월 평균 6만5000개의 일자리 증가를 예상했던 것과 대비되는 결과다.
이들은 지난달 3.5%를 기록했던 미국의 실업률도 12월에 3.7%, 내년 6월에는 4.3%로 꾸준히 상승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코노미스트들은 내년 말 미국의 평균 실업률이 4.7%를 기록하고, 2024년에도 그 정도 수준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했다.
또 금리 인상과 그로 인한 침체 여파는 노동시장에 그치지 않고 주택 시장으로까지 확산될 것으로 우려됐다.
이코노미스트들은 연방주택금융청의 계절조정 재판매(purchase-only) 주택가격지수 기준으로 내년 미국의 주택 가격이 2.2% 하락할 것으로 예상했는데, 해당 지수가 실제로 하락한다면 2011년 이후 첫 하락에 해당한다.
다만 응답자 대부분은 경기 악화가 지속되면 연준이 결국은 긴축에서 완화로 돌아서야 할 것으로 내다봤는데, 피봇 시점으로는 최소 내년 말 내지 2024년 초가 예상됐다. 응답 이코노미스트 중 30% 정도는 내년 4분기, 28.3%는 2024년 1분기를 금리 인하 시점으로 전망했다.
kwonjiun@newspim.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