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정아인 기자] “기관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커스터디 등 가상자산 규제를 기다리고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FTX 사태 이후 금융당국이 암호화폐 시장에 대한 규제를 강화하고 있다”며 “기관 투자자들은 암호화폐 수탁(커스터디) 등 관련 규제가 정립되기를 바란다고 4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 커스터디는 고객 자산 보호의 기본
워싱턴 포스트는 암호화폐 대출 플랫폼 셀시우스 네트워크 사례를 들었다. 셀시우스는 지난해 7월 5000만 달러의 비트코인 대출금을 상환했다. 이 돈의 주인이 셀시우스인지, 고객인지 불분명하다는 것.
워싱턴 포스트는 “암호화폐 사건 사고 재발을 막는 해결법은 커스터디”라고 보도했다.
# 커스터디에 군침 흘리는 기관 투자자
BNY 멜론은 기관 고객을 대상으로 한 가상자산 커스터디에 적극적이다. 피델리티는 2018년부터 헤지펀드에게 커스터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블랙록도 기관 투자자 대상으로 ‘알라딘 플랫폼’을 운영 중이다. 알라딘 플랫폼은 연기금 및 기타 대규모 투자자가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데 사용된다. 알라딘에 암호화폐를 추가해 이목을 끌었다.
# 커스터디 관련 신규 법률이 필요하다
회계 전문가인 올리비에 파인즈(Olivier Fines)는 “커스터디 서비스는 대형 기관이 주도하는 시장이다. 작은 규모의 기관은 쉽게 할 수 없다”고 말했다. 파인즈는 “가상자산 수탁 서비스에 경쟁을 도입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선 새로운 법률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증권거래위원회(SEC)는 ‘고객 보호’를 위해 커스터디를 의무화했다. 브로커와 딜러는 고객의 현금, 증권을 본인 자산과 분리해야 한다.
워싱턴 포스트는 “지금까지 암호화폐 규제 초점은 자금세탁방지에 초점에 맞춰 있었다. 이제는 고객 보호를 우선 순위에 둬야 한다”고 보도했다.
SEC는 지난해 3월 고객 가상자산 보호 의무가 있는 금융회사들을 위한 회계 지침을 발표했다. 금융회사들은 가상자산을 대차대조표에 기록해야 한다. 이 경우 자기 자본을 확충해야만 한다. 결과적으로 은행들이 암호화폐 수탁 서비스를 꺼리게 만들 수 있다.
워싱턴 포스트는 “기관 투자자들은 가상자산 커스터디 서비스가 규제 안으로 들어오기를 기다리고 있다”고 보도했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