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요 둔화 따른 재고 증가 속 창고·컨테이너 비용 상승
#월가와 기업 체험 인플레 ‘간극 존재’…소기업 75% ‘인플레 아직 정점 아냐’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미국에서 인플레이션이 완화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일부 공급망 요인이 인플레 압박을 높일 것이란 경고가 나왔다.
해상 운임, 수송용 연료 등 상품 가격 인플레를 부채질한 일부 공급망에서의 가격 요인들이 해소되고 있지만, 고물가와 고금리로 소비 수요가 둔화하는 가운데 재고가 늘며 이들 상품 재고를 보관하는 창고·컨테이너 용량 부족으로 관련 요금이 가파른 오름세를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 수요 둔화 따른 재고 증가 속 창고·컨테이너 비용 상승
SEKO로지스틱스의 브라이언 버크 글로벌 최고사업책임자(CCO)는 미국 CNBC와의 인터뷰에서 “”2022년 국제 항공·해상·트럭 운송 비용이 하락했지만, 대신 창고 비용이 오르고 있다”고 지적했다.
창고 요금이 이처럼 오르는 건 수요 증가에도 불구하고 미국에서 산업 건설 착공이 둔화하며 새로운 창고 공급이 이뤄지지 않고 있기 때문이다.
웨어하우스쿼트의 크리스 휴왈츠 솔루션 담당 부사장은 “전국의 창고 가용량이 낮은 상황에서, 금리 인상의 여파로 산업 건설 착공마저 전년 대비 줄고 있어 당분간 (창고) 수요가 공급을 웃도는 타이트한 상황이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미국의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지수(CPI) 상승률은 전년비 6.5%를 기록하며 11월(7.1%)에서 하락했으며, 지난해 6월 9.1%로 정점을 찍은 이후 꾸준히 둔화세를 이어왔다.
이에 제롬 파월 미 연방준비제도(Fed 연준) 의장이 올해 첫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 이후 가진 기자회견에서 “디스인플레이션(인플레이션 완화)가 시작됐다”고 언급하는 등 인플레이션 통제가 가능하다는 자신감을 드러냈다.
특히 연준은 공급망 차질로 심화됐던 상품 인플레이션이 어느 정도 해소되었다고 보고, 노동 비용과의 연관성이 높은 서비스 인플레이션에 집중하고 있는 상황이다.
하지만 CNBC는 물류업계 전문가들과의 인터뷰를 인용, 재고 보관 비용 증가로 상품 인플레가 예상보다 끈적하게(sticky) 지속될 가능성을 지적했다.
세계 최대 채권운용사 핌코(PIMCO)의 전 CEO이자 글로벌 보험사알리안츠의 경제 고문인 모하메드 엘-에리언 역시 CNBC 스쿼크박스와의 인터뷰에서 “시장에서는 디스인플레이션 스토리가 우리가 원하는 것보다 복잡하다는 사실을 깨닫기 시작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시장에서는 상품 분야의 디스인플레이션은 지속되고 서비스 인플레이션은 떨어지는 상황을 원했는데, 상품 부문에서 이 같은 (디스인플레이션) 추세의 되돌림이 나타나고 있어 인플레이션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커지고 있다고 말했다.
창고와 물류 센터 부족으로 상품이 컨테이너와 컨테이너 샷시(chassis)에 머무는 기간이 늘고, 이로 인한 추가 비용이 상품 가격에 반영되며 소비자들에 전가될 것이라는 분석도 나왔다.
폴 브래셔 ITS 로지스틱스 운송 및 복합운송 부사장은 “창고 부족으로 (상품들이) 컨테이너나 컨테이너 샷시에 머무는 기간이 늘며 이로 인해 추가적인 비용들이 발생하고 이는 모두 소비자들에게 전가될텐데, 이로 인해 상품 가격이 기대만큼 떨어지지 않고 있다”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상품이 창고로 들어가지 못하고 컨테이너에 일정 기간 이상 머뭄으로써 발생하는 비용이 오는 2분기와 3분기 급격히 치솟을 것으로 내다봤다. 이미 공급 부족으로 창고 비용이 사상 최고치 근방으로 치솟은 상황에서 이는 상품 가격 인상으로 이어질 수 밖에 없다는 게 그의 주장이다.
웨어하우스쿼트에 따르면 1월 미국 내 창고 비용은 전월 대비 1.4%, 전년 동월 대비로는 10.6% 오르는 등 오름세를 이어가고 있다.
또 브래셔 부사장은 창고나 컨테이너 비용 증가로 인해 분기당 수천만 달러의 추가 비용이 발생할 것이며, 소비 수요가 둔화하고 있 상황에서 이는 기업들의 실적 악화로 이어질 것으로 예상했다.
◆ 월가와 기업 체험 인플레 ‘간극 존재’…소기업 75% ‘인플레 아직 정점 아냐’
디스인플레이션 기대감에 뉴욕 증시의 주요 지수가 올해 들어 랠리를 보이고 있지만, 월가와 중소 기업들이 실제 체감하는 인플레이션 사이에는 일종의 간극이 있다는 지적도 나왔다.
CBNC와 서베이몽키가 미국의 2371개 소기업들 상대로 실시한 조사에서 응답자의 75%는 여전히 공급 비용 상승을 경험하고 있다고 답했으며, 51%는 공급망 차질이 여전하다고 답했다.
전미자영업연맹(NFIB) 리서치센터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홀리 웨이드는 “소기업들은 규모의 경제에 따른 이점을 누리기가 더 힘들다”면서 “지난 여름처럼 상황이 심각하지는 않지만, 여전히 많은 소기업들이 공급망 차질을 겪고 있으며 이 같은 상황이 해소되는 데에는 다소 시간이 걸릴 것”이라고 지적했다.
창고와 컨테이너 비용 증가 외에도 트럼프와 바이든 행정부 들어 높아진 대중국 관세가 상품 가격에 반영되며 상품 가격 디스인플레이션이 기대만큼 빠르게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지적도 나왔다.
스티브 라마 미국 의류신발협회 회장은 “대중국 관세가 이제 1700억달러에 이르렀으며, 이로 인해 기업들이 여타 비용 상승을 흡수할 여력이 거의 없는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koinwon@newspim.com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