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리콘밸리=뉴스핌]김나래 특파원=생성 인공지능(AI) 시장이 챗GPT 열풍으로 관심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페이스북 모회사 메타플랫폼(META)도 가세했다.
메타가 마이크로소프트(MS)와 알파벳 자회사 구글(GOOG)에 이어 생성 AI 시장에 가세한 만큼 더욱 경쟁이 치열해질 전망이다.
24일(현지시간) 마크 저커버그 최고경영자(CEO)는 블로그를 통해 새로운 대규모 AI 언어 모델(Large Language Model)인 LLaMA(Large Language Model Meta AI)를 개발자들에게 공개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LLM이란 텍스트를 읽고 요약하고 번역해 사람이 말하고 쓰는 것과 유사한 문장을 생성할 수 있는 챗GPT와 구글의 바드 등의 인공지능 툴을 말한다.
메타에 따르면 LLaMA는 과학자와 엔지니어들이 AI 응용 프로그램에 연구할 수 있도록 비영리적 라이선스로 제공된다. 챗GPT의 GPT-3와 구글의 ‘람다’가 소스를 공개하지 않고 있는 것과는 대조적이다.
저커버그 CEO는 메타의 프로그램은 경쟁 모델과 여러 면에서 차별화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LLM은 텍스트 생성, 대화, 문서 요약에서부터 수학 정리, 단백질 구조 예측과 같은 더 복잡한 작업에 이르기까지 가능성을 보여줬다”면서 “메타의 언어 프로그램은 70억 개의 매개변수에서 650억 개의 매개변수까지 다양한 형태로 나올 것”이라고 밝혔다
그러면서 “LLaMA는 1750억 개의 매개변수를 지닌 오픈AI의 GPT-3에 비해 매개변수는 적지만 다른 모델보다 전력 소모량이 적고, 20개 언어로 구동된다”고 밝혔다.
그는 매개 변수를 적게 가져간 이유에 대해서는 “최근 수년간 더 큰 모델들이 능력을 확장했지만 이를 운영하는 데에는 많은 비용이 들기 때문”이라고 덧붙였다.
업계에서는 챗GPT의 인기로 오픈AI가 뜨겁게 치고 나가고 있지만, 결국은 각종 소송전이 난무하고 윤리와 법제화의 벽에 부딪힐 것이라는 전망도 제기되고 있다. 부정확한 정보의 오류 및 확산, 저작권, 개인정보보호, 윤리적인 문제 등이 이슈가 되고 있다.
메타도 이날 블로그를 통해 이같은 문제점의 일부를 인정했다.
메타는 “대규모 언어 모델에서 편견, 유해한 의견 및 환각의 위험을 해결 하기 위해 수행해야 할 연구가 더 많이 있다”며 “다른 모델과 마찬가지로 LLaMA는 이같은 문제를 공유한다”고 밝혔다.
이어 “메타는 개방적이고 연구 지향적인 접근 방식이 AI의 수많은 지속적인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한 걸음 앞으로 나아가는 것이라고 믿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