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SVB사태에 유동성 괜찮나…뱅크런 대책 논의
#취약점인 PF대출·개인대출 부실 여부도 점검
[서울=뉴시스] 최홍 기자 = 금융당국이 저축은행중앙회를 비롯해 관련 업계 임원들을 소집해 미국 실리콘밸리은행(SVB) 파산 및 크레디트스위스(CS) 충격에 따른 유동성 점검에 돌입했다. 글로벌 금융 시장 불안이 국내 저축은행에서 전이될 가능성과 유사시 발생할 ‘뱅크런(예금 대량 인출 사태)’ 대응방안을 논의하기 위한 차원이다.
17일 저축은행업권 등에 따르면 전날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업권과 SVB 파산 사태에서 보인 유동성이 악화할 가능성과 관련해 회의를 열었다. 이날 회의에는 저축은행중앙회와 업계 임원들이 참석했다.
당국과 업권은 현재 유동성 비율이 적정한지, 악화할 가능성은 없는지를 집중적으로 점검했다. SVB 사태처럼 국내 저축은행에서 뱅크런이 갑자기 발생할 경우 어떻게 대응할지도 주요 논의 대상이었다.
유동성 비율이란 3개월 안에 현금화할 수 있는 자산을 같은 기간 내 갚아야 하는 부채로 나눈 값을 말한다. 저축은행들은 감독규정에 따라 비율을 100% 이상으로 유지해야 한다.
앞서 SVB는 유동성 악화로 36시간 만에 초고속으로 파산했다. SVB의 유가증권 평가손실이 외부에 공개돼 예금주의 불안심리를 부추겼고 곧이어 뱅크런이 발생했다. 모바일뱅킹 시스템 발전에 따라 예금인출이 쉬워진 점도 뱅크런 가속화에 한몫했다.
국내 금융권에서도 저축은행의 잠재위험이 기술발전과 맞물려 뱅크런이 가속화될 것이라는 우려가 나오고 있다. 저축은행들이 매입한 유가증권 규모는 최근 3년 동안 약 2조원 증가했고, 예금자보호 한도인 5000만원을 초과하는 예금 규모도 지난해 3분기 기준 전체 예금 기준 27.4%를 차지했다.
다만 이날 회의에서 금융당국은 저축은행 유동성 비율이 규제 목표치인 100%를 모두 넘는 등 아직 ‘안정권’인 것으로 파악했다.
저축은행 관계자도 “예금은 거의 다 대출로 집행되고 유동성 비율은 3개월 단위로 점검하는 등 은행보다 높은 규제를 적용 받고 있다”며 유동성 악화 우려에 선을 그었다. 이어 “유가증권 투자 한도도 막혀 있고 투자규정도 까다로워 기업이나 개인에게 대출을 내주지 않는 이상 따로 (유가증권) 투자해서 수익률을 얻을 수가 없다”고 설명했다.
또 이날 당국과 업권은 부동산 파이낸싱프로젝트(PF) 대출에 대해서도 논의했다.
금융당국은 저축은행의 PF대출 연체율을 점검하고, 추가로 개인 대출 부실 여부를 함께 들여다봤다. 당국은 저축은행의 건전성을 국내 금융시장의 가장 취약한 부분으로 판단하고 있다.
실제로 급속도로 불어난 부동산 PF대출은 고금리 시기와 맞물려 우리경제의 뇌관으로 지목되고 있다. 저축은행의 부동산 PF대출 잔액은 지난해 9월 기준 10조6000억원 규모에 달했다. 2020년 말 대비 3조7000억원 급증했다.
이에 대해 저축은행 관계자는 “PF 관련해서 금융당국이 까다롭게 점검하고 있다”며 “연체 관리를 강화하고 모니터링 체계를 갖추는 등 만반의 준비를 하고 있어 부실 발생 가능성은 낮다”고 전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hog8888@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