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통위원 5명, 3.75% 인상 가능성 열어둬야”
#”올해 성장률 1.6% 하회…물가, 연말 3% 수준”
[서울=뉴시스] 류난영 한재혁 기자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는 11일 “물가 상승률이 한은의 중장기 목표 수준인 2%로 수렴한다는 확신이 들 때 까지 금리 인하에 관한 논의를 안 하는 게 좋다”며 연내 금리 인하 가능성에 선을 그었다. 또 시장의 연내 금리 인상 종료 기대감에 대해서도 과도하다고 평가했다.
이 총재는 이날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정례회의에서 기준금리를 3.5%로 동결한 직후 열린 기자회견에서 “연내 금리 올해 하반기 물가 불안 요인이나 불확실성이 크다고 보고 있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상반기에는 물가 경로에 어느정도 확신이 있었지만, 하반기에는 불확실성이 많기 때문에 이를 확인하기 전까지 금리 인하에 관해 언급하는 것 자체가 부적절하다”고 강조했다.
올해 금리 인상 사이클이 종료됐다고 보고 있는 시장 반응에 대해서도 “금통위원 상당수가 시장의 기대가 너무 과한 것이 아닌가 생각하고 있다”며 “잠깐 금리 인상을 중단하고, 그 영향을 바라보자, 해외 상황이나 기타 상황의 변화에서 물가 경로가 우리가 예상하는 바가 아니면 다시 인상할 가능성도 열어두자는 분이 다섯 분 이상인데 지금 시장에서는 마치 올해 내 금리가 인하될 것 같은 기대가 많이 형성되고 있는데 조금 과도한 것이 아닌가 생각한다”고 말했다.
그는 “단기 금리 90일 통안채에 있는 금리를 계산해 보면 기준금리가 빠르게 내려가는 것으로 반응하고 있다”며 “시장에서 좀 과도하게 반응하고 있는데, 누가 더 맞는지는 사후적으로 판단해야 되겠지만, 금통위원 일부는 이렇게 가는 것이 정상적인 것은 아니라고 경고할 필요가 있다고 얘기했다”고 지적했다.
이번 금리인상 사이클의 최종금리 수준에 대해 “금통위원 6명 중 5명은 당분간 최종금리를 3.75%로 가져갈 가능성을 열워둬야 한다는 의견 이었다”며 “나머지 1명은 3.5%로 동결하는 것이 적절하다고 봤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금통위원 5명이 3.75% 인상 가능성을 열어두자고 한 것은 물가가 우리가 예상한 대로 둔화 흐름이 이어지겠지만 앞으로 산유국의 추가 감산이 국제유가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공공요금 인상 시기와 폭 등에 대해 하반기 이후의 물가 경로에 대한 불확실성이 크기 때문”이라며 “또 실리콘밸리은행(SVB) 사태 이후 주요국, 특히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통화정책을 어떻게 가져갈 지에 대해 아직 더 지켜볼 필요가 있기 때문에 불확실성이 계속되는 한 3.75%로 인상할 가능성을 열어두자는 것”이라고 말했다.
한·미 금리 격차 확대가 외환시장 불안으로 작용할 수 있다는 지적에 대해서는 “특정 환율 수준을 염두해 두고 금리를 통해 반응하거나 할 필요가 없다고 생각한다”며 “다만, 변동성이 클 경우 그 수준과 관계없이 금리 뿐 아니라 여러 다른 정책을 통해 반응하는 게 당연하다”고 말했다.
그는 “최근의 무역수지 적자 등으로 환율 절하 기조가 이어질 것이 시장의 일반적인 생각이지만, 이미 다 기대됐던 수준인 만큼 원·달러 환율에 반영됐을 것”이라며 “주요국 통화정책이 어떻게 변화할지, SVB 사태 이후 주요국 통화정책 긴축이 계속될지 아닐지도 환율에 크게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한 방향으로 단언하기 어려운 상황”이라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예전과 달리 우리는 채권국이고, 외환보유고도 4205억 달러 넘게 남아있어 어느 정도 무역수지 적자가 나든, 어느 정도 변화가 있든 예전처럼 외환시장 위기에 대해 불안해할 필요는 없는 상황”이라며 “충분히 대처가 가능한 여러 방안이 있고, 큰 폭의 변동성도 언제든 대처할 수 있다”고 말했다.
올해 연간 성장률에 대해서는 “IT 경기 부진 심화 등의 영향으로 지난 2월 전망치 1.6%를 소폭 하회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말했다.
이 총재는 “글로벌 경기 둔화, 그간의 금리 인상의 영향 등으로 성장세 둔화 흐름이 이어지고 있고, 소비 부진이 다소 완화됐지만 수출이 큰 폭의 감소세를 지속하면서 1분기 중 성장률은 소폭의 플러스로 전환되는 데 그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다.
그러면서 “올해 상반기까지는 부진한 성장 흐름이 이어지겠으나, 하반기 이후에는 IT 경기 부진 완화와 중국 경제 회복의 영향 등으로 점차 나아질 것”이라고 말했다.
이 총재는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분기에는 3%대로 낮아지고 연말에는 3% 수준을 나타내는 등 둔화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며 연간으로는 지난 2월 전망치 3.5%에 대체로 부합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다만 근원물가 상승률은 최근의 더딘 둔화 흐름을 고려할 때 지난 2월의 전망 경로를 다소 상회할 가능성이 큰 것으로 판단된다”고 내다봤다.
또 “향후 물가전망에는 산유국 감산에 따른 국제유가 움직임, 국내외 경기 둔화 정도, 공공요금 인상의 시기와 폭 등과 관련한 불확실성이 여전히 높은 상황”이라고 말했다.
한전채가 시중 자금을 흡수하면서 지난해 말 있던 자금경색을 유발할 수 있다는 우려에 대해서는 “지난해에는 레고랜드 사태가 일어나면서 회사채 시장, 은행채 시장, 시장 전체가 경직된 데다 발행 물량까지 더해지며 시장에 주는 충격이 컸다”며 “지금은 시장 상황이 많이 안정된 상황이고, 전기요금도 올라 지난해 만큼의 부담은 주지 않을 것으로 생각된다”고 말했다.
한편 한은 금통위는 이날 금통위원 만장일치로 기준금리를 현 수준인 연 3.5%로 동결했다.
이 총재는 이에 대해 “물가 상승률의 둔화 흐름이 이어질 것으로 예상되지만 목표수준을 상회하는 오름세가 상당기간 지속될 것으로 전망된다”며 “주요국에서 금융부문의 리스크가 증대되는 등 정책 여건의 불확실성도 높은 만큼 기준금리를 현 수준에서 유지하면서 인플레이션 둔화 속도, 금융안정 상황, 여타 불확실성 요인들의 전개 상황을 점검해 나가는 것이 적절하다고 판단했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you@newsis.com, saebyeok@newsis.com
Copyright © NEWSIS.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