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nam_choi_nft] NFT와 메타버스는 다음으로 어떤 길을 갈 것이냐에 대한 질문에 답을 하지 못한 채 여기까지 오고야 말았습니다. 수많은 천재들이 여기에서 머리를 맞대고 있지만, 소비자가 원하는 것을 줄 수 있느냐의 문제는 여전히 풀지 못한 난제로 남아 있습니다. NFT 뉴욕의 현장에서, 이들이 고민하는 문제와 미래를 함께 공유했습니다.
#현실에 대한 직면
2022년의 파티는 끝이 났습니다. 파티가 끝난 후 이제는 계산서가 하나둘씩 날아오기 시작했죠. 작년의 흥청망청한 분위기는 오간데 없고, 행사 첫날 오전 9시에도 입장권을 교환하는 곳의 풍경은 한산하기 그지없었습니다.
Yuga Labs, Cyberkongz, Azuki, Doodles, CloneX 등의 소위 블루칩이라 불리는 프로젝트는 행사에 공식적으로 참여하지 않았고, 홀더 주최 파티 정도만 개최됐습니다. 그나마 최근 잘나가는 프로젝트인 Degods, Pudgy, AKCB 등은 공식적인 사이드 이벤트를 개최했으나, 그 규모도 예년에 비해서는 상당히 축소된 수준이었죠.
크립토 시장의 겨울이라고 치부하기엔, 이미 올 한 해 비트코인 상승률이 70%를 넘어설 만큼 실로 대단한 유동성 랠리가 펼쳐지고 있습니다. 크립토 시장의 겨울이 아닌, 오직 NFT 시장의 한파가 지속되고 있을 뿐입니다.
출발 전 리서치를 통해 머릿속에 그렸던 ‘두들의 성대한 파티’, ‘BAYC 등 PFP가 새겨진 옷을 입고 활보하는 디젠들’, ‘타임스퀘어 광장을 잠식한 NFT 광고’는 온데간데없이 행사장에는 여기에서 NFT NYC가 진행되고 있음을 알려주는 각 프로젝트의 스티커만이 어지럽게 뿌려져 있었습니다.
행사를 관통한 키워드는 ‘현실(Real World)’, ‘실용성(Utility)’, ‘생존(Survival)’, ‘강화(Consolidation)’ 등이었으며, 이는 얼마나 NFT 시장의 겨울이 춥고 길어지고 있는지에 대한 반증으로 보이는 부분이었죠. 행사장의 좌석은 빈자리로 남겨져 있었고, 나머지 참석자들은 앞으로의 전망에 대해 암울하게 이야기했습니다.
“지난 12개월 동안 여기 있는 모든 사람들은 자신의 선택에 대해 비웃음을 당했을 겁니다.” 한 연사는 연단에서 이렇게 말했습니다. 그의 연설은 행사장을 침묵하게 만들었고, 행사장 내 일부 사람들의 가슴 아픈 웃음소리가 들리기도 했습니다.
오픈씨(Opensea)에서 나온 연사는 지난 1년 동안 80% 가까이 줄어들은 NFT 판매량을 언급했고, 2022년에는 자전거래가 대부분을 차지했음을 고백하기도 했습니다. 어쩌면 우리가 작년에 경험했던 NFT 시장의 폭발적 성장의 이면에는 이런 어두운 뒷배경이 자리 잡고 있을지도 모르는 일이었죠.
#순환 생태계를 위한 노력, 지속 가능한 모델 가능할까
P2E와 관련한 세션에서는 “전혀 지속 가능하지 않은 모델”이라는 코멘트가 나왔으며, 일부 게임사의 브랜드 매니저는 “P2E 모델의 핵심 문제는 제로섬”이라고 주장했습니다. 외부의 사업 모델이 부재할 경우, 플레이어가 토큰을 청산하는 이상 생태계가 지속 가능할 수 없다는 의미를 언급한 것 같습니다.
플레이어가 번 돈을 게임에 다시 넣어서 재투자할 수 있는 ‘순환 Loop이 존재하는가’를 확인하기 위해 많은 게임회사들이 노력하고 있지만, 그렇게 쉬운 길은 아닐 것이라는 우려가 지배적인 모습이었죠. 그 와중에 일본에서 참여한 한 연사는 생각보다는 일본의 게이머들이 플레이 자체에 몰입하면서 돈을 버는 행위 자체가 부가적인 요소로 자리 잡고 있다고 언급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NFT Finance, NFT Legal, NFT IP, Game, Fashion, Healthcare와 같은 다양한 주제가 논의되는 등 콘텐츠 자체는 보다 성숙해진 모습을 보여주었다고 생각합니다. 특히 예술, 패션,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아티스트와 제작자에게 좀 더 공정한 방식으로 분배될 수 있는 모형의 실현 가능성에 대한 기대감도 엿보였습니다.
마스터 카드(Master Card)는 무료 Music Pass NFT 드롭(폴리곤)을 통해 Web3 기반의 뮤직 플랫폼을 출시했습니다. 단순한 PFP와 게임 보상이라는 컨셉에서 벗어나 문화라는 영역에서의 NFT 기술은 해당 산업의 Pain Points를 해결할 수 있는 하나의 솔루션으로 부상할 수 있다는 기대감으로 연결되고 있습니다.
창작자에게 공정한 방식으로 보상을 제공하고, 2차 거래를 통해 투자자들이 좀 더 손쉬운 방법으로 진입할 수 있는 길을 열어줄 수 있다는 의미겠죠. ‘어쩌면 NFT 시장의 다음 메타는 엔터테인먼트 분야에서 발생할 수 있지 않을까’라는 생각이 들기도 했습니다. 역시 현실적 어려움에 직면하니, 이제서야 제대로 된 고민을 하기 시작했다고 볼 수 있을까요?
# 새로운 가능성과 아이디어도 이어져, NFT 기술이 제시하는 경험 구조
톰 삭스의 갤러리 방문은 가장 특별한 경험 중 하나였습니다. 그의 창작물 뿐 아니라 작업 공간은 다양한 영감과 창의성으로 가득했고, 마치 60대 노인의 오락실 같은 인상을 풍겼습니다.
남자라면 누구나 갖고 싶은 공간이라고 해야 할까요? 무엇보다 그가 기획하는 NFT가 단순한 아트의 영역을 넘어, 하나의 완성된 세계관을 갖추고 있다는 사실에서 놀라움을 금치 않을 수 없었습니다.
또한 방문자 한명 한명에게 실물 시민권을 발급하고, NFT Claim 등을 포괄하는 전 과정은 마치 테마파크에 방문한 것과 같은 경험을 제공했습니다. 이런 경험을 하고 나면, 자연스럽게 톰 삭스와 그가 기획한 NFT에 대해 관심을 가질 수 밖에 없겠죠.
매우 단순한 것 같지만, ‘디테일이 살아 있는 경험’의 중요성을 다시 한번 깨닫게 됐습니다. 저는 이번 행사에 메타콩즈 프로젝트팀과 함께했습니다. 이 경험을 통해 메타콩즈도 역시 이러한 아이디어를 충분히 고려해볼 수 있을 것이라 생각했는데, 자리에 함께한 이두희씨 역시 한국팀에 해당 아이디어를 전달하는 기민함을 보여주기도 했습니다.
메타콩즈는 2022년 경영권 분쟁 등의 내홍을 겪은 이후, -15억 원이라는 처참한 성적표를 손에 쥐고 생존을 위한 분투를 시작했습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뉴욕에서 만난 이두희 대표님은 메타콩즈의 미래에 대한 진심을 내비치며, 메타콩즈를 성공적인 프로젝트로 부활시킬 것이라는 다짐을 보여주었습니다.
# 빠르게 달려온 뒤 느끼는 번아웃, 성장과 즐거움의 시기 다가올 것
이번 여행을 통해 얻은 가장 큰 수확은 두 가지입니다. 사실 출발 전만 해도 저 역시 미래에 대한 자신감을 다소 상실한 상태였습니다. 22년 말에 너무 빠르게 달려왔기에 그만큼 번아웃이 왔을 수도 있는 상황이었죠.
아마 다른 NFT 홀더분들도 크게 다르지 않으리라 생각됩니다. 하지만 이번 여행을 통해 그런 우려와 번아웃을 모두 깔끔하게 씻어낼 수 있었습니다. 저에게는 하루 휴가를 내기 위한 비용이 상당하게 들어갔지만, 오히려 큰 돈을 벌어온 여행이었다고 분명하게 말씀드릴 수 있습니다.
이 글을 읽는 홀더분들께 정말 자신 있게 말씀드리겠습니다. NFT 시장은 미래를 준비하고 있습니다. 메타콩즈 홀더인 저는 이두희님과 메타콩즈 팀의 진심을 믿고 있습니다. 앞으로 우리의 기다림이 그렇게 길지 않을 것 같네요. 2022년은 힘들었지만, 2023년은 우리 모두 같이 성장하고 즐기는 한 해가 될 것이라 확신합니다.
# Nam.Choi(@nam_choi_nft) / 메타콩즈의 진심을 믿는 메타콩즈 NFT 홀더 / 트위터, 티스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