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스탠리 최 기자] 6월 1일 홍콩의 새로운 가상자산 거래 플랫폼 운영 가이드라인이 공식 시행에 들어가면서 가상자산 거래소의 라이선스 허가 신청이 본격 시작됐다.
중국 매체들은 이번 조치에 대해 홍콩이 적극 추진중인 글로벌 가상자산 센터 구축에 중대한 진전이라고 의미를 부여하고 있다. 특히 중국 본토 투자자들의 자금이 홍콩으로 유입될 것인지가 관심이다.
중국 본토 거주자라도 홍콩 거류증만 있으면 홍콩의 모든 은행에 계좌를 개설할 수 있고 얼마든 가상자산 거래가 가능하다.
홍콩의 가상자산 규제에 대해 중국 본토에서도 긍정적인 반응이 나왔다는 점은 눈여겨 볼 대목이다. 이는 암호화폐 금지 조치 이후 처음 있는 일이다. 블룸버그는 이를 “홍콩의 암호화폐 허브 야망에 대한 조용한 지지”라고 언급하기도 했다.
# 중국, 암호화폐 시장으로 귀환?
과거 중국 시장은 암호화폐 산업에서 막강한 존재였다. 지난 2014년부터 2016년 사이 OK코인, 후오비, 비트멕스, 비트파이넥스 등이 중국과 홍콩에서 출범했고 암호화폐 산업 성장을 주도했다.
하지만 2017년 9월 4일 인민은행이 ICO를 불법 금융활동으로 규정하고 토큰을 통한 자금 조달 활동을 명시적으로 금지한다고 발표했다. 그러자 거래소가 폐쇄되고 시장 분위기가 가라앉았다. 이때부터 중국계 거래소들은 해외로 빠져나가기 시작했고 이 무렵 해외를 거점으로 바이낸스가 본격 부상하기 시작했다.
그 후 몇 년 동안 중국은 암호화폐에 대한 감독을 더욱 강화했다. 2021년 5월 21일 국무원 금융회의에서 ‘비트코인 채굴 및 거래 행위에 대한 단속’ 신호가 나오자 지방 정부는 앞다퉈 채굴장을 폐쇄와 채굴 금지를 가시화했다.
한때 전체 비트코인 네트워크의 75%를 차지했던 중국의 해시파워도 약화됐다. 그해 11월 비트코인은 사상 최고가인 69,000달러까지 올랐지만 중국만큼은 축제를 즐기지 못했다.
그 사이 중국 거래소는 사업 근거지를 싱가포르와 두바이 등지로 옮겼고 직원들도 재택 근무와 현지 근무를 위해 중국을 떠났다. 이른 바 ‘크립토 노마드’가 된 것이다.
# 홍콩의 발빠른 움직임
2022년 10월 31일, 홍콩 정부는 ‘홍콩의 가상자산 발전에 관한 정책 선언’을 발표한다. 글로벌 가상자산 센터가 되기 위해 경쟁하겠다는 의지가 담겼다. 그 후 몇 개월 동안 홍콩은 빛의 속도로 움직였다.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기반 선물 ETF 상장을 승인했고 새로운 가상자산 거래소 라이선스 제도를 발표했으며 개인투자자에게 가상자산 거래를 개방할 계획도 밝혔다.
올해 4월 11일 열린 홍콩 웹3.0협회 창립식에는 홍콩특별행정구 행정장관 리자차오, 홍콩 입법회(국회) 의장 량쥔옌, 홍콩 보안국장 등빙창 등 최고위급 인사가 모두 나와 이 정책에 홍콩이 전례없는 힘을 싣고 있음을 증명했다.
중국 매체들은 미국 규제 당국이 지난 1년 사이 암호화폐에 대한 규제를 강화함에 따라 홍콩이 이를 활용할 기회가 찾아왔다고 지적한다. 이는 코인베이스의 CEO 브라이언 암스트롱을 비롯해 미국의 크립토 관계자들이 미국의 가혹한 규제로 인해 기업이 해외로 빠져나갈 수 있고 그렇게 되면 미국이 블록체인과 암호화폐 산업에서 크게 뒤처질 것이라고 주장하는 바와 궤를 같이 한다.
# “홍콩은 통풍구” 중국 투자자 높은 기대감… 통행증·거류증 문의 늘어
중국 업체와 투자자들의 기대도 크다. 지난달 미국 마이애미에서 열린 ‘비트코인2023’ 현장에서 만난 중국 업계 관계자들은 홍콩이 중국 업체와 투자자에게 활로를 제공하는 ‘통풍구’ 역할을 하게 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홍콩증감회(SFC)의 가이드라인에 따라 승인받은 거래소가 본격적인 영업을 시작하면 일정 자산을 보유한 홍콩 거주자는 비트코인을 비롯한 다수의 가상자산에 투자할 수 있게 된다.
지난 1월 현재 홍콩에서는 전문투자자나 최소 800만 홍콩달러(한화 13억원 상당) 이상의 은행금융자산을 보유한 투자자만 가상자산 거래를 할 수 있다. 하지만 이 기준은 일반인들이 투자 가능한 수준으로 크게 낮아질 것 같다. 홍콩증감회(SFC)는 개인 투자자의 투자 허용 방법에 대한 컨설팅 보고서를 이후 별도 제공할 예정이다.
중국 후룬연구소의 보고서에 따르면 중국의 백만장자(한화 13억원 이상 자산 보유자)는 500만명을 넘는다.
중국 본토 거주자라도 홍콩 거류증만 있으면 홍콩의 모든 은행에 계좌를 개설할 수 있고 얼마든 가상자산 거래가 가능하다. 특히 중국 부유층과 해외로 떠났던 중국 인재들이 홍콩에 눈독을 들이고 있다. 최근 홍콩 현지 로펌과 대행기관에는 홍콩 통행증과 거류증에 대한 문의가 부쩍 늘었다.
# 홍콩을 중심 거점으로
홍콩은 작년 12월 28일부터 ‘고급 인재 통행증 계획’도 개시했다. 중국 본토 거주자라도 홍콩을 방문하려면 별도 비자를 받아야 하지만, 통행증이 있으면 수시로 드나들 수 있다.
이 때문에 런던, 싱가포르 등지로 떠났던 가상자산 업계 관계자들이 홍콩 통행증을 신청하는 사례도 증가하고 있다. 별다른 문제만 없으면 신청 후 2~3일만에 통행증이 나온다는 게 현지 관계자의 전언이다.
홍콩에서 거래소가 본격 가동되려면 최소 몇 달은 더 걸릴 것으로 예상된다. 라이선스를 받는 거래소는 계속 나오겠지만 비트코인 외에 어떤 가상자산을 거래 대상에 포함할 지 결정해야 하고 어느 정도의 자산을 가진 투자자에게 거래를 개방할 지도 결정해야 한다. 투자에 따른 세금 논의도 진행되어야 하고 스테이블 코인에 대한 정책도 마련돼야 한다.
그러나 홍콩을 바라보는 중국 업계는 활력과 기대가 넘치는 것 같다.
사실 홍콩의 이번 정책을 혁신적이라고 말할 순 없다. 하지만 정책의 안정성이야말로 산업이 혁신해 나갈 수 있는 최고의 토양을 제공해주는 요인이다. 탈세계화의 물결 속에서 각국이 각자도생으로 더욱 파편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개방적이고 포용적인 정책 환경의 가치는 자명한 일이기 때문이다.
속보는 블록미디어 텔레그램으로(클릭)
전문 기자가 요약 정리한 핫뉴스, 블록미디어 카카오 뷰(클릭)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