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남주현 기자 = 금융권의 예금 유치 경쟁에 따른 수신 금리 인상이 예금 취급 기관들의 재무 건전성 저하로 나타나고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올해 상반기까지 수신 확대 노력이 이어진만큼 내년 상반까지는 안정성에 유의할 필요가 있다는 지적이다.
한국은행은 시중은행의 수신 경쟁이 비은행권의 유동성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만큼 은행채 등 수신 관련 규제를 신축적으로 운영하는 한편, 상호금융은 중앙회가 시의적절하게 유동성을 지원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한은은 11일 ‘예금취급기관의 예금조달행태 변화 및 정책적 시사점’을 발간했다. 작성자는 한은 금융안정국 은행리스크팀 유재원 과장과 박서정 조사역, 홍준의 조사역이다.
보고서는 지난해부터 이어진 기준금리 인상과 함께 지난해 하반기 일부 은행들이 유동성 규제 정상화 대응, 시장성 수신 애로 완화 등을 위해 수신을 확대함에 따라 경쟁관계에 있는 상호 금융,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도 수신 확보를 위해 예금금리를 빠르게 인상했다고 설명했다.
문제는 예금취급기관 간 수신 경쟁이 예금자 선택의 폭을 넓히고 금리 혜택을 제고시킬 수 있지만, 단기간의 과도한 예금금리 인상이 수신 안정성 저하와 대출금리 인상 등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높다는 점이다.
실제 지난해 3분기 은행권의 예금금리 스프레드는 83bp로 2014년 이후 최고치를 기록했다. 비은행권도 예금금리 인상으로 대응하면서, 비은행의 예금금리 스프레드는 지난해 4분기 142bp로 크게 확대됐다.
이후 높은 수준의 예금금리를 통한 비은행권의 수신 행태가 지속됨에 따라 올해 상반기 중 늘어난 예금의 64.9%가 상호금융 및 저축은행 등 비은행권에 예치된 상황이다.
보고서는 최근 예금취급기관의 수신 경쟁과 재무안정성 간 관계를 패널모형 을 통해 분석한 결과, 수신 경쟁이 심화될수록 예금취급기관의 총자산수익률 변동성이 확대되며 수익 안정성이 저하되는 것으로 나타났다는 결론을 내렸다.
아울러 예대금리차 수준이 낮은 예금취급기관은 총자산수익률뿐만 아니라 자본 관련 지표의 수준도 저하됐다고 해석했다.
보고서는 은행들의 수신 경쟁이 촉발될 경우 파급 영향이 예금 이외의 대체 자금조달수단이 부족한 비은행권에 빠르게 전이되고 있다고 봤다. 이에 따라 평상시 은행권의 예금만기, 재예치규모 등 유동성관리 상황을 한층 더 면밀히 살펴볼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유 과장은 “저축은행이나 시중은행 경우 내년 상반기까지는 (안정성에) 유의해야 한다”면서 “은행권은 예금만기 등 유동성 상황을 더욱 면밀히 살펴보는 한편 필요시 은행채 등 시장성 수신 관련 규제도 신축적으로 운용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이어 “비은행권의 경우 중앙회가 개별 회원기관에 대해 시의적절하게 유동성을 지원하는 방안을 확충할 필요가 있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