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채 3년물 3월 말 3.325% → 12월 말 3.053% 전망
美 Fed 4분기에는 인하 개시…한국은행도 인하 대열
[서울=뉴스핌] 한기진 기자 = 2023년 마지막 채권 거래일인 12월28일 기준 한국 10년물 금리는 3.183%이다. 연중 최고는 4.392%까지 올랐으나 작년 12월 미국 FOMC에서 2024년 금리인하 가능성을 언급하자 한달 사이 금리가 급락했다.
작년 12월 초만해도 3.5%대에서 거래됐다. 이 같은 추세면 2024년에는 2%후반대까지 떨어질 가능성이 있다. 한 예측을 보면 ‘2024년 3월 말 3.202% → 6월 말 3.385% → 9월 말 3.236% → 12월 말 2.830%’로 금리가 하락 추세를 유지하다가, 연말에 2%대까지 내린다. 국채 10년물 금리가 떨어진다는 것은 한국은행이 기준금리를 장기적으로 인하한다는 의미다.
[서울=뉴스핌] 사진공동취재단 = 이창용 한국은행 총재가 19일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10월 금융통화위원회 금리 결정에 대한 기자간담회에서 발언하고 있다. 2023.10.19 photo@newspim.com |
단기의 금리 추이를 예상해볼 수 있는 국채 5년물 금리 전망을 보면 2023년 12월28일 기준 3.156%로 불과 한달도 안돼 0.4%p 가까이 내렸다. 장기 금리 전망을 보면 2024년 3월 말 3.286% → 6월 말 3.484% → 9월 말 3.319% → 12월 말 2.962%로 1년간 58.1bp 하락이 예상된다. 1년 내 초단기 금리를 예상할 수 있는 국채3년물 금리는 2023년 12월28일 3.154%에서 2024년 3월 말 3.325% → 6월 말 3.498% → 9월 말 3.354% → 12월 말 3.053%로 연간 48.4bp 하락할 것으로 전망된다. 12월 국채 금리급락은 FOMC가 금리인상을 줄곧 유지하다가 갑작스레 하락 가능성을 내비치면서 시장이 과잉 반응한 측면이 크다.
이 예측치는 전 세계 국가들의 정부 채권에 대한 데이터를 통해 금리를 예측하는 웹사이트인 세계국채(www.worldgovernmentbonds)가 한국의 국채 금리를 ‘추세 추종 알고리즘’으로 분석한 결과다. 이 알고리즘은 시장 데이터의 역사적 추세를 분석해 미래의 시장 움직임을 예측하는 방법이다. 주로 장기적인 시장 변동 추세를 따르는 전략을 사용하며, 시장의 모멘텀이나 트렌드의 강도를 분석하는 데 유용하다. 장기 채권 투자자들은 이 데이터를 참고한다.
올해는 미국 연방준비제도(Fed)가 금리를 내리기 시작해 전 세계적으로 고금리가 진정될 것이란 전망이 많다. 골드만삭스의 2024년 금리 전망에 따르면 미 연방준비제도(Fed)는 2024년 4분기에 금리 인하 주기를 시작할 것으로 예상한다. 미국의 현재 벤치마크 금리는 5.25~5.5% 범위로 유지되고 있으며, 골드만삭스는 올해 금리가 50베이시스포인트(bp)만 인하될 것으로 전망한다. 골드만삭스는 인플레이션이 하락하고 고용시장이 활발함에 따라 Fed가 2024년 4분기까지 금리를 안정적으로 유지한 후 금리 인하를 시작할 것으로 분석한다. 이후에는 분기별로 25bp씩 인하해 2026년 2분기까지 기준금리가 3.5~3.75%에 이를 것으로 예상한다.
다만 한국은행의 고금리 유지 기조는 변하지 않았다. 지난 11월에 열린 2023년 마지막 금융통화위원회에서 기준금리를 7회 연속 동결하면서도, 금통위원 6명 가운데 4명은 기준금리 추가 인상 가능성을 열어둬야 한다는 의견을 제시했고, 나머지 2명은 물가뿐 아니라 성장과 금융 안 정 등을 함께 고려할 때 기준금리를 현 수준으로 유지하는 게 적절하다고 주장했다.
그러나 골드만삭스는 한국의 기준금리가 2024년 2분기부터 시작해 최대 세 차례 인하될 수 있다고 전망한다. 노무라는 한발 더 나아가 한국은행이 2024년 7월까지는 금리 인하를 하지 않지만, 하반기 집중적으로 내리면서 2024년 한 해 동안 기준금리를 100bp(1%) 인하할 것으로 내다봤다. 경제 악화와 반도체 산업의 개선을 고려해 금리 인상 시기는 늦춰도 인하 폭은 클 것이라는 분석이다. 반면 기준금리를 동결하거나 인상할 것이라는 채권시장의 분석은 찾기 어렵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