네카오, ‘하이퍼클로바X’, ‘AI 콘텐츠 봇’ 등 AI 활용 서비스 본격 확대
게임 업계, 대작 게임 출시 및 콘솔 시장 진출 통한 실적 반등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올해 인터넷 및 게임 시장은 인공지능(AI) 기술의 본격적인 도입으로 인해 성장하는 한 해가 될 것으로 보인다.
시장조사업체 data.ai는 ‘2024 모바일 앱 시장 5대 트렌드’를 통해 생성 AI 앱이나 생성 AI 기능이 포함된 앱의 다운로드가 전년 대비 40% 늘어난 23억 다운로드를 기록, 모바일 게임 시장 소비자 지출도 지난해보다 4% 증가해 1114억달러(약 147.5조원)를 넘어설 것으로 봤다. 시장 성장에 힘입어 국내 주요 인터넷 및 게임 회사들의 매출 또한 늘어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1일 증권정보업체 에프앤가이드에 따르면 올해 네이버와 카카오의 연간 매출은 각각 10조원과 9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예측된다. 게임 업종의 경우, 위메이드가 매출 1조원을, 엔씨소프트가 매출 2조원을 돌파하는 기록을 세울 전망이다.
이에 대해 임희석 미래에셋증권 연구원은 “(2024년은) 인터넷은 광고 부문 성장세 회복, 게임은 생성 AI 도입을 통한 구조적 개선이 핵심이다. 상반기 광고 업황 회복이 예상, 생성 AI 기반 광고 매출은 3분기부터 발생할 전망”이라며, “웹툰 시장 성장률은 10%를 전망, 생성 AI 툴 도입 이후에 성장세 회복이 가능할 것이다. 게임은 상반기부터 비용 절감 효과가 실적에서 관찰될 전망”이라고 예상한 바 있다.
초대규모 언어모델 인공지능(AI) ‘하이퍼클로바X’을 소개하는 최수연 네이버 대표이사. [사진=네이버] |
◆ 네카오, ‘하이퍼클로바 X’와 ‘AI 콘텐츠 봇’ 중심 서비스 경쟁 본격화
네이버와 카카오는 올해부터 AI 서비스 경쟁을 본격화할 것으로 보인다. 특히, 양사 매출은 광고 시장 회복에 따른 플랫폼 사업 부문과 수수료 인상에 따른 커머스 사업 부문의 호조 효과로 성장이 예측되는 가운데, AI 서비스가 접목되면서 시너지 창출 효과를 볼 것으로 기대된다.
특히, 네이버는 검색 광고에 AI 기반 서비스를 붙이는 방식으로 수익화 전략을 본격화한다. 네이버는 지난해 8월 초대규모 AI 언어모델 ‘하이퍼클로바 X’를 공개한 이후, 이를 기반으로 한 대화형 AI 서비스 ‘클로바 X’와 생성 AI 서비스 ‘큐(CUE:)’의 서비스 퀄리티를 높이는데 집중해왔다.
네이버는 큐를 쇼핑, 로컬 등 자사 버티컬 서비스와 연동해 이용자와의 접점을 늘리는 데 활용할 예정이다. 아울러 자체 데이터센터 ‘각 세종’을 통해 ‘클로바 스튜디오’, ‘뉴로 클라우드 for 하이퍼클로바 X’ 등 B2B 고객을 대상으로 한 서비스도 확대할 방침이다.
각 세종 전경. [사진=네이버] |
카카오는 카카오톡 오픈채팅과 결합한 AI 콘텐츠 봇을 도입, 올해 AI 사업을 본격화할 계획이다. AI 콘텐츠 봇은 세분화된 관심사로 형성된 커뮤니티(오픈채팅)에서 사용자의 관심사에 맞는 큐레이션 콘텐츠를 제공할 것으로 예측되며, 카카오는 콘텐츠 봇의 유용성과 확장성을 검증한 이후, 이를 일반 개인톡과 단체톡방까지 확대할 것으로 보인다.
지난해 하반기부터 악영향을 미쳤던 여러 악재도 김범수 창업자가 직접 경영쇄신위원장을 맡아 그룹 거버넌스 개편과 기업문화 재정의, 핵심문화 집중 등의 변화를 예고, 글로벌 IT 전문가인 정신아 카카오벤처스 대표를 단독대표로 내정하면서 해소될 전망이다.
이지은 대신증권 연구원은 “2023년은 하이퍼클로바 X를 기반으로 한 서비스들의 로드맵을 공개하거나 서비스들의 베타 테스트를 거치는 기간이었다면, 2024년부터는 정식 서비스 출시를 통해 중장기적으로 생성 AI 서비스를 통한 수익 창출에 기반을 다지는 해가 될 것”이라며, “특히 생성 AI 사업의 수익화가 가장 빠르게 일어나는 사업은 B2B 부문으로 예상, 다수의 파트너사들에게 클로바 스튜디오, 뉴로클라우드 등 기업용 AI 솔루션의 B2B 서비스를 제공하면서 2024년부터 클라우드 사업 실적에 기여 가능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 게임사들, 흥행 대작 게임 출시로 반등 예고
게임 시장도 변화가 기대된다. 지난해 국내 주요 게임사들의 실적은 전망치에 미치지 못했지만, 올해는 상황이 달라질 전망이다. 주요 게임사들이 출시를 미뤄왔던 대작 게임들을 국내외 시장에 내놓으면서 실적 반등에 성공할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지난해 크래프톤, 엔씨소프트, 넷마블, 카카오게임즈, 위메이드, 펄어비스 등 국내 시총 상위 6개사의 합산 매출은 전년 동기 대비 12% 역성장을 기록하며, 모바일 게임 시장 개화 이후 가장 부진한 성적을 냈다.
올해는 코로나19 이후 발목을 잡았던 인건비 부담도 완화되면서 비용 절감 효과가 극대화되는 가운데, 다수의 신작 게임이 출시되면서 성과를 낼 전망이다. 일례로 크래프톤은 ‘다크앤다커 모바일’과 ‘인조이’, ‘블랙버짓’을, 엔씨소프트는 ‘TL 글로벌’과 ‘프로젝트G’를, 넷마블은 ‘제2의 나라: 크로스월드(중국)’와 ‘일곱 개의 대죄: 오리진’을, 카카오게임즈는 ‘ROM과 ‘가디스오더’를, 위메이드는 ‘나이트크로우 글로벌’과 ‘레전드오브이미르’를, 펄어비스는 붉은사막’의 출시에 나설 예정이다.
또한, 북미 및 유럽의 콘솔 시장이 새로운 성장 동력으로 주목받고 있는 상황에서 지난해 네오위즈가 출시한 ‘P의 거짓’이 성공사례를 만들면서 국내 게임사들의 글로벌 콘솔 게임 시장 진출도 활발해질 것으로 보인다. 실제로 주요 게임사들은 지난해 11월 폐막한 국제 게임 전시회 ‘지스타 2023’애서 등 콘솔 및 스팀 시장을 겨냥한 다양한 장르의 신작 게임들을 선보인 바 있다.
[사진=네오위즈] |
남효지 SK증권 연구원은 이와 관련해 “상반기보다는 하반기에 신작이 집중되고, 기대작들 출시가 이어지며 하반기 매출 성장률이 더욱 높을 것으로 예상한다. 콘솔 플랫폼향 성과도 가시화되며 국내 콘솔 게임의 흥행 방향성을 다시 한번 확인해볼 수 있을 것”이라며, “(게임사들이) 유저 타겟팅을 위한 효율적인 마케팅 집행, 생성 AI를 활용해 시간과 비용을 절감하고 독창성을 강화할 수 있을 것으로 예상한다”고 예측한 바 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