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테라 사태를 이끈 암호화폐 개발사 테라폼랩스가 최근 미국 법원에 챕터 11 파산보호를 신청했다. 챕터11은 파산법원 감독을 통해 회생 기회를 타진하는 미국 파산보호 신청 중 하나다. 테라폼랩스의 추정 부채는 최소 1억에서 최대 5억 달러에 달한다.
미국 증권거래위원회(SEC)는 테라폼랩스와 권도형 전 테라폼랩스 대표를 미등록 증권 판매 및 미등록 증권 기반 스와프 거래 혐의로 기소한 바 있다. 지난달 미국 지방법원은 미등록 증권 판매 혐의를 유죄로 판결하고, 미등록 증권 기반 스와프 거래 혐의는 기각한 바 있다.
당시 테라폼랩스가 발행한 알고리즘 스테이블 코인 테라USD(UST)와 플랫폼 코인 루나(Luna)는 암호화폐 하락장 중 페깅(스테이블 코인과 달러 간 1대 1 고정 교환비)가 깨지며 생태계가 순식간에 붕괴했다.
탈중앙화 금융(DeFi)를 이끌던 테라 생태계의 붕괴로 암호화폐 시장은 긴 침체기에 들어섰다. 이후 생태계가 자생할 것이라는 기대로 관련 암호화폐 가격이 상승했지만, 이번 파산보호 신청으로 추가 하락세가 발생한 상황이다.
테라루나클래식(LUNC)는 2024년 기준 연초 대비 34% 가까이 하락했다. 같은 기간 비트코인이 4.0%, 알트코인 시가총액은 1.6% 하락한 것과 대조된다. 테라 생태계의 붕괴 이후 암호화폐 시장 DeFi 생태계는 긴 침체기에 진입했다. 하지만 최근 들어 시장 회복세와 함께 신규 프로젝트들이 등장하는 상황이다.
# 블록체인으로 창작자 지원하는 보로 파이낸스, 웹3 개선하는 투자 플랫폼으로 주목
보로 파이낸스(Borroe Finance, $ROE)는 Web3 분야의 창작자와 기업이 자금을 더 쉽게 조달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신규 디파이(DeFi) 프로젝트다. 블록체인 기술과 NFT, 인공지능을 금융 생태계에 통합해 새로운 형태의 자금 조달 방식을 제시한다.
플랫폼 핵심은 사용자가 구독 및 로열티 등 미래 소득을 반영한 NFT를 발행하고, 이를 할인된 가격으로 시장에서 판매해 현금 흐름을 발생시키는 것이다. 창작자와 기업에게는 새로운 자금 유입 가능성을, 투자자들에게는 초기 투자 기회를 제공한다.
엑스이닷컴(XE.com)의 전 부사장 마이클 프라이스(Michael Price)와 맥심 프리슈포(Maxim Prishchepo)가 이끄는 보로 파이낸스는 블록오딧(BlockAudit) 스마트 컨트래트 감사를 마치기도 했다.
#위 콘텐츠는 LOCX의 지원으로 제작되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