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남주현 기자] 한국은행이 올해 연간 경제성장률 전망치를 종전과 같은 2.1%로 유지했다. 물가 전망치는 2.6%로 지난해 11월 전망치를 그대로 제시했다.
성장률 전망치 유지는 고금리·고물가에 따른 소비 위축에도 수출이 회복세를 보이는 이유가 크다. 물가 전망은 최근 농산물 급등에도 최근 국제유가가 여전히 낮은 상태라는 점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은행은 22일 올해 우리나라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을 2.1%로 제시했다. 지난해 11월 전망치와 동일하다. 내년 성장률 전망치도 2.3%로 유지했다.
한은은 최근 경제전망 때마다 전망치를 낮춰왔다. 지난해 2월 올해 성장률 전망치로 2.4%를 제시한 한은은 5월 2.3%로 0.1%포인트 낮추더니 8월에는 2.2%로 더 내렸다. 그러더니 11월에는 2.1%로 떨어뜨렸다.
한은의 올해 성장률 전망치(2.1%)는 지난달 국제통화기금(IMF)가 제시한 2.3%보다 낮다. OECD(경제협력개발기구)와 한국개발연구원(KDI)이 이달 초 제시한 우리나라 성장률 전망치는 모두 2.2%다.
한은이 성장률 전망치에 변화를 주지 않은 배경에는 불확실성이 높다는 점이 꼽힌다. 반도체 업황 개선에 따라 수출이 개선세를 보이고 있지만, 주요 수출국인 중국의 경기 냉각 조짐이라는 불안감이 사그라지지 않고 있다.
고금리와 고물가에 따른 내수 부진도 경계심을 높인다. 미국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하반기로 밀리고 있는 가운데 자본 조달 비용과 대출 이자 부담에 민간소비와 건설 투자 위축 우려가 커졌다.
재정 건전성을 강조하는 정부에 투자 확대를 기대하기도 어렵다. 정부의 올해 예산 증가율은 2.8%로 재정통계가 정비된 2005년 이후 역대 최저 수준이다.
올해 소비자물가 상승률 전망치는 기존 2.6%를 유지했다. 내년 물가 예상치 역시 2.1%로 11월 전망과 같다.
우리나라의 1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8%로 반년 만에 2%대로 내려왔다. 하지만 고환율과 농산물 가격 급증과 원자재와 공공요금 인상에 따른 2차 비용 파급 효과에 다시 3%대로 반등할 것이란 예상이 나온다.
다만 중동 분쟁 확전 우려에 따른 높은 불확실성에도 현재 국제유가가 안정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 브렌트유 선물은 배럴당 83달러 수준으로 지난해 11월 전망의 전제였던 상반기 86달러를 하회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