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남주현 기자]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이 기준금리 5회 연속 동결과 함께 3차례 인하 계획을 유지했다. 하지만 한미 금리차 확대에 따른 자금 이탈 우려에 미국보다 선제적으로 금리를 움직이기 어렵다는 점과 금리 인하가 가계부채와 물가를 자극할 수 있다는 점에서 한국은행의 금리 고민이 완전히 해결되지 않았다는 평가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미국 금리에 맞춰 당분간 기준금리 동결을 이어가다가, 연준의 기준금리가 확인된 6월 이후 금리 수준을 낮출 것이란 전망이 우세하다.
◆美 연준 5차례 ‘동결’…파월 “올해 금리인하 한다”
21일 금융권에 따르면 FOMC(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지난 20일(현지시각) 회의를 마치고, 기준금리를 5.25~5.5%로 결정했다. 지난해 9월부터 3월까지 5회 연속 동결이다. 이에 따라 우리나라 기준금리(3.5%)와의 격차는 2.0%포인트로 유지됐다.
연준이 공개한 점도표에서는 내년 금리 중간값을 4.6%로 제시해 12월 전망치와 같았다. 현 금리보다 0.75%포인트 낮은 것으로 0.25%포인트씩 인하할 경우 3차례 내리게 된다. 양적 긴축(QT) 속도를 줄이겠다는 예고도 내놨다. 파월 의장은 “이번 회의에서 보유 증권의 감소 속도를 늦추는 것과 관련된 논의를 했다”고 했다.
파월 의장은 간담회를 통해 경제성장 지속을 예상하면서도 올해 금리인하에 나설 것이라는 점도 분명히 했다. 그는 “현재 금리가 고점을 찍은 것으로 보고 있다면서 미국 경제가 예상한 것처럼 전개되면 올해 특정 시점에 긴축정책을 되돌리는 작업을 시작하는 것이 적절할 것”이라고 말했다.
시장은 금리 인하를 기대하며 곧바로 반응했다. 다우지수는 1.03%오른 3만9512.13에, 나스닥지수는 1.25% 오른 1만6369.41에 거래를 마쳤다. 모두 역대 최고 기록이다.
◆가계부채·물가 안 꺾였는데 …한은의 복잡해진 셈법
결과만 보면 미국이 연내 3차례 인하에 나선다는 점을 분명히 하면서 한은 역시 언제든지 금리를 낮추면 간단하다. 문제는 꺾이지 않고 있는 물가와 치솟는 가계부채가 금리 인하를 제약한다는 점이다. 주택 가격이 재반등할 우려도 있다.
시장에서는 한은이 연준에 앞서 선제적으로 금리를 움직이기 보다는 한동안 동결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본다. 경기 부진을 고려해 미국보다 먼저 금리를 낮췄다가는 금리 역전차가 사상 최대인 2.25%포인트 이상으로 벌어질 수 있다. 가계부채와 물가 경로에 대한 불안이 여전하다는 점에서 금리 인하가 시기상조라는 시각도 나온다.
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농산물 가격 급등에 3.1%를 기록하며 다시 3%대로 올라섰고, 생활물가도 가파른 상승세를 보이고 있다. 최근에는 국제유가도 연중 최고치를 기록하며 물가를 압박하고 있다. 은행권 가계부채는 사상 처음으로 1100조원을 넘어섰다.
◆韓 금리 인하 시기? “美 연준 인하 직후”
한은의 통화정책 전환 시기로는 미국의 금리 인하 직후로 보는 시각이 대부분이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페드워치에 따르면 연준의 6월 금리 인하 확률은 전날 55.6%에서 이날 기자회견 이후 70.9%로 15%포인트 이상 상승했다.
연준의 6월 금리 인하 기대가 탄력을 받으면서 한은도 미국과 금리차를 벌리지 않으면서 관망하다 하반기 곧바로 금리를 움직일 것이란 시각이 나온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월 금통위 직후 기자간담회를 통해 “상반기 금리 인하 어렵다”면서 “5월 전망을 보고 판단할 것”이라고 언급한 바 있다.
김대종 세종대 경영학과 교수는 “연준의 금리 인하 예상 시점이 6월로 굳어지는 상황”이라면서 “고금리에 따른 소비 위축으로 경기 부양이 시급한 한은은 연준의 금리 인하 시점과 속도에 발맞춰 곧바로 금리를 낮출 것”이라고 봤다.
연준이 금리를 낮추더라도 꺾이지 않은 물가과 가계부채에 금리 인하에 서두르지 않을 것이란 분석도 나온다. 조용구 신영증권 연구원은 “한은의 첫 금리 인하는 8월이 될 것으로 보인다”면서 “연준의 움직임에 대한 확신과 물가와 가계부채를 좀 더 확인하려 들 것”이라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njh32@newsis.com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