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년은 암호화폐 시장에 ‘기적’같은 해였습니다. 물감을 벽에 뿌리면 자동으로 모네의 그림이 완성되는 것처럼요. 2018년 4분기를 지내고 있는 지금, 그리고 모두가 2019년 시장을 기대하는 지금, 암호 화폐 시장에서 과연 ‘투자’에 성공할 수 있을까 의문이 드는 이유는 올 한 해의 시장이 어려웠기 때문이 아닐까 싶습니다. 애널리스트들, 헤지펀드들, 모든 개인 투자자들마저 핑크빛으로 내다봤던 것이 2018년이었습니다. 비트코인 가격은 20,000달러를 넘어설 것이고, 총 시장 가치는 10억달러에서 40억달러까지 증가할 것을 내다봤었기에 실망은 더 클 지 모릅니다.
지금 모두가 가지고 있는 질문, 2018년을 마무리하고 2019년을 맞이하며 암호화폐 투자에서 이익을 낼 수 있는 방법은 있을까요? 아마 모두의 마음일텐데요.
오늘의 크립토투데이는 비트코이니스트가 제시하는 3가지 전략을 전해드리는 것으로 대신할까 합니다.
첫번째 전략, 현실에서 ‘파트너십’을 가진 기업에 투자하라!
암호화폐에 내재된 변동성을 감안했을 때 장기적인 결실을 맺을 가능성이 높은 기업에 투자하는 것이 첫번째 해답입니다. 기존 업계와 탄탄한 파트너십을 맺고 있는 암호화폐가 좋은 대안일 수 있죠.
대표적인 것이 아이오타(IOTA), 고바이트(GBX), 이오스트(IOST), 스텔라(XLM)입니다.
이오스트는 이더리움이나 비트코인이 일반적으로 직면하고 있 는 ‘확장성’무제에 대한 솔루션 역할을 하는 블록체인 ‘인프라’를 개발하는 프로젝트인데요. 폴크스바겐(Volkswagen), 보쉬(Bosch), 후지쯔(Fujitsu) 등과 이미 파트너십을 맺고 있습니다. 비트코이니스트는 이오스트의 현재 가격이 아주 매력적이라고 진단내린 바 있습니다.
고바이트도 마찬가지입니다. 현재 전자상거래와 모바일 결제로 인한 수입이 이미 약 5300억 달러에 달하고 2021년까지 8860억달러에 달할 것으로 예상되고 있습니다.
스텔라는 리플과 비슷하다는 평가인데요. IBM이나 쉬프트(Shift), 딜로이트(Deloitte), 스트라이브(Stripe) 등과 역시 파트너십을 맺고 있네요.
두번째 전략, 잠시 휴식하며 투자를 ‘기계’에게 맞겨라!
주식시장에서도 개인투자자들을 위한 로보어드바이저가 존재합니다. 투자를 알고리즘화 해 투자 수익률을 높이는 전략이죠. 마찬가집니다. 50~100%의 수익을 욕심내지 말고 1~2%의 수익이라도 매일 내라는 조언인데요. 특히 암호화폐 시장은 365일 24시간 돌아가기 때문에 이렇게 하는 게 몸에도 더 편하다는 조언이네요. 지금까지는 게코(Gekko), 젠봇(Zenbot) 그리고 크립토 트레이더(Crypto Trader)가 가장 많이 쓰이고 있다고 합니다.
세번째 전략, 마스터노드가 된 코인에 투자하라!
마스터노드(Masternode)는 선택 받은 소수의 마스터 컴퓨터만이 채굴에 참여할 수 있는 것을 뜻합니다. 대중성이 떨어지다보니 전송 속도는 떨어지죠. 채굴은 선택 받은 소수의 컴퓨터만이 가능하다보니 막대한 코인을 보유해야 마스터노드가 될 수 있습니다. 그만큼 초기투자금이 많은 편이죠. 하지만 보통 5~20%의 리워즈를 받다보니 수익을 내기가 훨씬 쉽다는 평입니다. 비싼 건물일수록 임대료가 높아, 비싼 건물을 가진 건물주가 더 높은 월세수익 누리 듯 말이죠. 대표적인 것이 위에도 언급한 고바이트(GBX)인데요. 고바이트 CEO는 “약세장에서 노드를 운영하는 것은 아주 좋은 전략”이라면서 “가격 하락에 대응해 새 코인을 얻을 수 있고 이것이 그저 코인 가격이 하락하는 것을 지켜보는 것이 다인 기존 투자와 다른 점”이기 때문이라고 말합니다.
기성 기업과 암호화폐 스타트업과의 거래는 점점 늘어나고 있고, 기관 투자자들 역시 블록체인에 뛰어들고 있는 요즘입니다. 여기에 보안을 한층 강화한 ‘분산형 거래소’의 등장도 개인 투자자들에게는 좋은 투자환경을 제공할 것입니다. 2019년에 대한 암울한 전망이 핑크빛 전망보다 더 많습니다. 하지만 섣부른 기대나 가정이 얼마나 어려운 지 우리는 이미 한 차례 겪어봤기 때문에, 변화하는 환경 속에 ‘오랜 비전’을 가지고 ‘다방면의 전략’으로 움직인다면 분명 기회가 있을 것이라 생각합니다.
오늘의 크립토 투데이였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