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주종국 기자] ‘최근 금값 상승의 중심이자 선두에는 중국이 있다’.
블룸버그통신은 금값이 온스당 2천400달러를 넘어 사상 최고치를 보이는 데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금 생산국이자 소비국인 중국이 큰 역할을 하고 있다고 21일(이하 현지시간) 진단했다.
중동과 우크라이나에서의 전쟁을 포함한 지정학적 긴장 악화와 미국의 금리 인하 전망 하락 등으로 안전자산으로 여겨지는 금 수요는 크게 늘었다. 이에 따라 금값도 크게 올랐지만 중국의 금 수요는 꺾이지 않고 있다.
일반인과 펀드 투자자, 선물거래자는 물론이고 중앙은행인 인민은행까지 나서서 금을 사들이고 있다.
금 매입 1위 자리를 놓고 중국과 인도가 경쟁해왔지만 지난해를 기점으로 판도가 갈렸다.
중국의 금 관련 제품 소비가 10% 증가한 반면 인도는 6% 줄었다.
중국의 골드바와 금화 투자만 보면 28% 급증했다.
중국에서는 부동산 부문의 위기가 지속되는 데다 주식시장의 변동성도 커 금이 더욱 인기 투자처로 떠오르고 있다.
홍콩에 본사를 둔 프레셔스 메탈 인사이트의 필립 클랩와이크 상무는 “중국에서는 별다른 투자 대안이 없다. 환율과 자본통제가 심해 투자할만한 시장이 금 외에는 없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금 채굴량은 세계 최고지만 여전히 많은 금을 수입하고 있다. 지난 2년간 금 수입량은 2천800t이 넘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연준) 보유량의 약 3분의 1에 해당한다.
중국 인민은행은 달러화 의존을 줄이고 통화 가치 하락에 대비하기 위해 17개월 연속 금을 매입하고 있다.
각국 중앙은행 가운데 금 매입에 가장 적극적이다. 공식 부문에서만 작년에 기록적인 양을 매입했으며 올해도 매입이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
중국에서의 금 수요가 높다 보니 중국 내에서 금을 매입하려면 국제 가격에 비해 프리미엄을 더 지불해야 한다.
이 프리미엄 가격도 최근 급등해 평소 온스당 7달러이던 것이 지난 1년간 35달러 수준으로 뛰더니 이달 들어서는 89달러까지 올랐다.
금값이 오르면 수요는 둔화하기 마련이지만 중국인들의 금에 대한 사랑은 쉽게 가라앉지 않고 있다.
중국 소비자들은 가격이 하락할 때도 금을 사 왔고, 이는 시장이 약세일 때 가격을 떠받치는 역할을 해왔다.
금을 기반으로 하는 상장지수펀드(ETF) 투자도 중국에서 유독 활발하다.
지난해 6월 이후 거의 매달 중국 본토의 금 ETF에 돈이 유입됐지만 나머지 국가들의 금 펀드에서는 자금이 많이 빠져나갔다.
satw@yna.co.kr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