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연합뉴스 김은경 기자] “지역별, 국가별 AI 기술의 격차가 더 벌어지기 전에 인류 전체가 함께 번영할 수 있는 조화롭고 상호운용적인 AI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해야 합니다.”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은 23일 서울 더플라자호텔에서 열린 ‘인공지능(AI)과 데이터 거버넌스 국제 콘퍼런스’에서 이같이 AI 시대에 각국 및 기관들이 해야 할 과제를 제시했다.
고 위원장은 ‘글로벌 AI 거버넌스’를 주제로 ‘국제 공조와 상호운용성의 전망’에 대해 논의한 첫번째 세션에 참여해 상호운용성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고 위원장은 “현 시점은 글로벌 AI 거버넌스에 다양한 접근을 하는 모색기이자 초기 단계”라고 진단하며 “AI 시장이 고착화하기 전에 글로벌 대화가 최대한 빨리 적극적으로 진행돼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정부와 각국 기관 등이 지속적으로 대화해 글로벌 표준과 상호운용 시스템을 만들어가야 한다”며 “균형 잡힌 시각에 기반한 규율 체계를 형성하기 위해 AI가 가져올 편익과 기회, 새로운 도전에 대해 국제적 차원에서 계속 고민하고 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또 “한국을 포함해 여러 나라 개인정보보호 관련 법에 ‘정당한 이익’이라는 조항이 있는데 과연 ‘정당한 이익’이 무엇인지 고민하고 있다”며 “조만간 개인정보위에서 ‘정당한 이익’을 어떻게 해석할지 가이드라인을 발표하겠다”고 전했다.
고 위원장은 개회사에서도 조화롭고 상호 운용적인 AI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해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는 “개별 국가마다 AI를 안전하게 활용하고 관리하기 위한 제도와 정책을 만들고 있지만, 국가·지역별로 파편화된 규범은 AI 기술을 통한 혁신이나 규율 체계 형성에 효과적이지 못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이어 “긴밀한 국제적 소통·협력과 유연한 사고에 기반한 논의를 통해 인류 전체가 함께 번영할 수 있는 조화롭고 상호운용적인 AI 거버넌스 체계를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아만딥 싱 길 유엔(UN) 기술특사도 기조연설과 첫번째 세션 토론에서 데이터 거버넌스의 중요성을 설파했다.
길 기술특사는 “데이터는 AI 시스템에 투입되는 핵심 원천이고, AI 모델이나 결과만 봐서는 AI 리스크에 적절히 대응할 수 없다”며 “이 때문에 UN AIAB(유엔 AI 고위급 자문기구)는 국제 AI 거버넌스 다섯 원칙 중 하나로 데이터 거버넌스를 포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어떤 데이터가 투입되는지에 따라 AI는 악용될 수 있고, 누군가를 소외시킬 수 있으며 인권을 유린할 수도 있다”며 “올바른 데이터 거버넌스는 공공 및 민간 부문 전반에서 올바른 이용과 신뢰를 기반으로 한 협력을 촉진할 수 있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길 기술특사는 “각 지역의 특이성을 보호하면서 범용적인 데이터 거버넌스를 수립해야 한다고 생각해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 있다”며 “AI 거버넌스는 누군가가 시혜적으로 베푸는 개념이 아닌 모두를 포함하고 상호 존중하는 방향으로 나아가야 할 것”이라고 역설했다.
이어진 두번째 세션에서는 유니스 훵 구글 아태지역 인공지능 및 신흥기술 부서장 및 하정우 네이버 클라우드 센터장 등 주요 데이터 기업 관계자들이 ‘글로벌 AI 맥락의 데이터 거버넌스’를 주제로 토론했다.
이번 국제 콘퍼런스는 AI 시대 데이터 거버넌스의 미래를 그리기 위해 개인정보위와 유엔 AI 고위급 자문기구인 ‘유엔 AIAB’가 협력해 마련한 자리다.
유엔 AI 자문위원들과 국제기구 및 국내외 AI 관련 전문가, 산·학·연관계자 등 300여 명이 참석해 토론을 경청하고 활발한 대화를 나눴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