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이제인 기자] 기관투자자들이 2027년까지 포트폴리오 내 디지털 자산 배분을 7%까지 늘리고 2030년에는 토큰화된 자산 시장 규모가 10조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러 과제도 남아 있다고 코인데스크가 28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이 같은 내용은 이코노미스트(The Economist)가 암호화폐 거래소 OKX의 의뢰로 발간한 새로운 보고서에 담겼다.
현재 자산운용사들은 운용자산(AUM) 중 1%에서 5%를 디지털 자산에 할당하고 있다. 보고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가장 큰 투자 대상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기관투자자들의 포트폴리오 내 디지털 자산 포지션은 주로 암호화폐 거래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며, “그러나 기관투자자들은 암호화폐를 넘어 더 다양한 투자 상품의 등장으로 인해 디지털 자산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51%의 기관투자자들이 암호화폐 현물에 대한 자산 할당을 고려 중이며 △33%는 디지털 자산 스테이킹 △32%는 암호화폐 파생상품 △36%는 암호화폐 추적 펀드에 관심을 두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관투자자들은 단순한 암호화폐 보유를 넘어서 스테이킹, 암호화폐 파생상품, 토큰화된 채권과 같은 디지털 자산을 점점 더 고려하는 추세다. 이런 추세는 유럽투자은행(EIB)의 5000만 파운드(6600만 달러) 규모의 디지털 채권, 10억 달러 규모의 토큰화된 미국 국채, 홍콩의 60억 홍콩달러(7억 6680만 달러) 규모의 디지털 채권 등 디지털 자산 시장의 증가로 강조된다.
또한, 수탁기관은 기관투자자들이 디지털 자산을 받아들이는 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전통 및 암호화폐 헤지펀드 중 80%가 수탁기관을 사용하고 있으며, 아시아에서는 암호화폐 수탁기관이 전통금융(TradFi) 수탁기관과 동일한 수탁 라이선스를 획득하고 있다. 홍콩에서는 TCSP(Trust or Company Service Provider) 라이선스가 발급되고 있으며, 싱가포르의 경우 중앙은행인 싱가포르 통화청(MAS)이 자체 암호화폐 수탁 프레임워크를 마련하고 있다.
하지만 규제 조화의 부족 등 여러 과제가 여전히 남아 있다. 보고서는 “다양한 지역에서의 규제 프레임워크가 통일되지 않아 불확실성을 초래하며, 규제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하면서, 유럽의 MiCA 규제를 긍정적인 지역 규제 사례로 언급했다. “지역 간 상이한 접근 방식은 시장 불안정을 초래하고, 디지털 자산을 포트폴리오에 통합하려는 기관들에게 어려움을 준다”고 덧붙였다.
또한, 유동성 분산 문제도 투자자들의 우려를 낳고 있다. 유동성 분산은 디지털 자산 공간에서 대규모 거래를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주며, 시장 불안정성을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블록체인 네트워크 및 디지털 자산 시장 간의 유동성 분산이 가격 비효율성을 초래하며, 대규모 거래를 다루는 기관투자자들에게 중대한 도전 과제가 된다”고 밝혔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시도 중 하나로 ‘고유 토큰 전송(native token transfers)’이 꼽힌다. 고유 토큰 전송은 래핑된 자산과 달리 고유한 속성과 소유권을 유지하며, 토큰의 원활한 크로스체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고 보고서는 설명했다.
이 보고서는 일본 기관투자자의 54%가 향후 3년 내에 암호화폐에 투자할 계획이라는 노무라 설문조사와도 유사한 결론을 내렸다. 일본의 경우, 25%가 디지털 자산에 긍정적인 견해를 가지고 있으며, AUM 중 2%-5%를 선호 배분 비율로 보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