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관투자자들이 2027년까지 포트폴리오 내 디지털 자산 배분을 7%까지 늘릴 예정이다. 코인데스크는 28일(현지 시간) 이 같은 예상을 보도했다. 2030년에는 토큰화된 자산 시장 규모가 10조 달러를 넘을 것으로 예상되지만 여러 과제도 남아 있다고 한다. 이 내용은 이코노미스트가 암호화폐 거래소 OKX의 의뢰로 발간한 새로운 보고서에 담겼다.
현재 자산운용사들은 운용자산(AUM) 중 1%에서 5%를 디지털 자산에 할당하고 있다. 보고서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이 가장 큰 투자 대상으로 자리 잡은 가운데, 기관투자자들이 암호화폐를 넘어 더 다양한 디지털 자산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보이고 있다고 설명했다. 51%의 기관투자자들은 암호화폐 현물에, △33%는 디지털 자산 스테이킹에, △32%는 암호화폐 파생상품에, △36%는 암호화폐 추적 펀드에 자산 할당을 고려 중이다.
기관투자자들은 단순한 암호화폐 보유를 넘어서 스테이킹, 암호화폐 파생상품, 토큰화된 채권 등 다양한 디지털 자산을 고려하는 추세다. 이러한 추세는 유럽투자은행(EIB)의 6600만 달러 규모의 디지털 채권, 10억 달러 규모의 토큰화된 미국 국채, 홍콩의 7억 6680만 달러 규모의 디지털 채권에서 확인된다. 하지만 규제 조화의 부족과 유동성 분산 문제 등 남아 있는 과제가 있다. 보고서는 “다양한 지역에서의 규제 프레임워크가 통일되지 않아 불확실성을 초래하며, 규제 변화에 따른 리스크 관리가 어렵다”고 지적했다.
보고서는 또한, 유동성 분산 문제도 언급하며 이는 디지털 자산 공간에서 대규모 거래를 효율적으로 실행하는 데 어려움을 주고, 시장 불안정성을 초래한다고 설명했다.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적 시도로 ‘고유 토큰 전송(native token transfers)’이 있다. 고유 토큰 전송은 래핑된 자산과 달리 고유한 속성과 소유권을 유지해 토큰의 원활한 크로스체인 이동을 가능하게 한다. 일본의 경우 기관투자자의 54%가 향후 3년 내에 암호화폐에 투자할 계획이라고 보고서는 덧붙였다.
* 이 기사는 2024년 08월 28일, 22:23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