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상링크 : https://youtu.be/jCXK5ni7XVU
[블록미디어 현성 PD] 최근 한국 가상자산 시장이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논의와 법적 문제들이 부각되고 있습니다.
가상자산 관련 규제와 이용자 보호가 강화되는 가운데,
미비한 법적 체계와 글로벌 시장 대비 부족한 측면이 점차 드러나고 있습니다.
한국 가상자산 시장의 현황과 글로벌 시선
현재 한국의 가상자산 거래소들은 소매 투자자들이 주요 고객으로,
약 700만 명이 활발히 투자하고 있습니다.
원화-가상자산 거래량은 세계에서 두 번째로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으며,
해외에서는 한국 시장을 중요한 테스트베드로 인식하고 있습니다.
그러나 외국인 투자자와 법인 기관의 접근성이 제한적이고,
파생상품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국내 거래소에서는 다루지 못하는 실정입니다.
이로 인해 많은 한국 투자자들은 해외 거래소로 눈을 돌리고 있습니다.
불완전한 법적 지원과 제도적 개선의 필요성
가상자산 사업자들은 이상거래를 감지할 경우 시장 조사 규정에 따라 경보제를 시행하고,
특정 상황에서는 거래 중지 등의 조치를 취할 수 있습니다.
그러나 일부 거래소가 영업을 종료하면서 고객 예치 자산 반환 절차에 불편함이 발생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특정 거래소는 예치 자산 반환을 신청할 때마다 수수료를 부과해 이용자들의 불만을 사고 있습니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은 거래소 영업 종료 시 고객이 가상자산을 출금할 수 있는
충분한 기간을 보장하라는 가이드라인을 제공하고 있으나, 실질적이고 구체적인 법적 근거는 미흡합니다.
글로벌 경쟁력 확보를 위한 법적 보완과 용어 재정립
전문가들은 국내 가상자산 관련 법령이 글로벌 기준에 부합하도록
더욱 구체적이고 포괄적인 체계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고 제안합니다.
특히 유럽의 ‘미카법’과 같은 통합적인 법체계를 갖춘다면,
가상자산 공급자들이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할 수 있을 것입니다.
또한, ‘가상자산’이라는 용어에 대한 재검토가 필요하다는 의견도 있습니다.
현재 국제 자금세탁방지기구(FATF)에서 정의한 ‘Virtual Asset’을 번역한 ‘가상자산’이라는 용어는
실제 의미와 달리 실체가 없는 자산이라는 인식을 줄 수 있습니다.
해외 주요국들은 자국의 상황에 맞는 용어를 사용하고 있으며,
한국도 산업의 성장과 글로벌 시장 확장을 위해 명확한 용어 정립이 요구됩니다.
향후 전망과 결론
이러한 상황에서 국내 가상자산 시장은 안정성을 높이고 투자자 보호를 강화하는 동시에,
해외 시장과 경쟁할 수 있는 법적 기반을 다져야 합니다.
이를 통해 가상자산 산업이 글로벌 경쟁력을 갖추고,
안전하고 신뢰받는 투자 환경을 조성해 나가야 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