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달 1400만 ETH를 돌파했던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의 예치량이 33일 만에 23만 ETH 감소해 1385만 ETH로 떨어졌다. 이는 약 8억 4400만 달러 규모다. 비트코인닷컴에 따르면 11월 30일 기준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은 1385만 ETH를 관리하고 있다. 이는 2024년 10월 28일 기준 1408만 ETH에서 감소한 수치다.
리퀴드 스테이킹은 탈중앙화 금융(DeFi)에서 가장 선호되는 방법 중 하나로, 현재 DeFi 분야에서 가장 큰 총 가치를 가지고 있다. 현재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에 예치된 총 자산은 약 498억 3700만 달러다. 이 중 △리도(Lido)는 980만 ETH(약 352억 1600만 달러)를 보유하며 시장을 주도하고 있다. 지난 33일간 리도의 보유량은 975만 ETH에서 소폭 증가했다. △바이낸스(Binance) 리퀴드 스테이킹 플랫폼은 같은 기간 152만 ETH에서 172만 ETH로 증가했다.
로켓풀은 최근 큰 타격을 입었다. 보유량이 33일 동안 47만 9374 ETH가 빠져나가 현재 75만 626 ETH만 남았다. 이는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 간 경쟁의 치열함을 보여준다. 총 31개 리퀴드 스테이킹 프로토콜 중 △리도, 바이낸스, 로켓풀 세 플랫폼이 전체 예치 ETH의 88.62%를 차지하며 시장을 지배하고 있다.
이외 약 7개 프로토콜은 각각 10만 9797~47만 5380 ETH를 관리하며 중간 규모를 유지하고 있다. 그 아래의 6개 플랫폼은 각각 16만 7000 ETH 이하의 자산을 보유해 규모 면에서 차이를 보였다. 최근의 변동은 리퀴드 스테이킹 시장 내 주요 프로토콜 간 경쟁과 신뢰 변화가 시장 흐름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 바이낸스와 리도는 유입 증가로 혜택을 본 반면, 로켓풀의 대규모 유출은 DeFi 생태계 내 신뢰와 참여 역학이 섬세한 것을 나타낸다.
*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1일, 06:3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