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오수환 기자] “디지털 세계와 현실의 경계가 점차 허물어지면서, 자산과 권리를 디지털 형태로 표현하는 기술적, 법적 기반이 중요해지고 있다.”
박용범 한국블록체인학회장(단국대 소프트웨어학과 교수)은 3일 서울 여의도Two IFC 3층 더 포럼에서 열린 ‘블록페스타 2024: 웹3 산업의 미래(Future of Web3 Industry)’에서 기조연설 연사로 나서 ‘디지털자산의 도전과 진화’를 주제로 이같이 밝혔다. 박용범 학회장은 현재 지난달 출범한 가상자산(암호화폐)의 정책 방향을 모색하는 자문기구인 가상자산위원회의 민간위원이기도 하다.
이날 행사에서 박용범 학회장은 가상자산의 안전한 운용을 위해 스마트 컨트랙트, 데이터 무결성, 접근 제어 등 기술적 관리의 필요성을 강조하며, 이를 뒷받침하기 위해 자산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 정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는 “스마트 컨트랙트는 자동화된 조건 실행을 통해 거래의 신뢰성을 보장하고, 데이터 무결성은 블록체인 기술을 통해 거래 기록의 변조를 방지한다”며 “이러한 블록체인의 장점을 충분히 활용하려면 가상자산의 법적 정의를 명확히 확립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용범 학회장은 가상자산이 신용카드나 체크카드와 같은 디지털 결제 수단의 서비스 가치를 중심으로 성장하면서, 기존 결제 시스템의 한계를 보완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비트코인과 이더리움 같은 가상자산은 물리적 형태는 없지만, 블록체인 기술을 기반으로 신뢰성과 희소성을 확보하여 가치 저장과 교환 매개체로 기능하고 있다”며 “이러한 특징을 통해 디지털 경제에서 새로운 유형의 화폐로 자리 잡고 있다”고 말했다.
이어 “가상자산이 탈중앙화된 네트워크를 활용해 거래의 투명성과 보안을 강화함으로써 중개 비용을 줄이고 있다”며 “기존 금융 시스템의 신뢰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가능성을 보여준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처럼 시장이 성장하고 있음에도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가상자산과 블록체인이 실제 생활에서 어떤 효용을 제공할지 의문을 갖고 있다. 이에 대해 박용범 학회장은 “모든 산업의 성장은 자본의 집결로 가능하다. 자금이 모이는 것은 새로운 산업을 일으키기 위한 준비 과정이다. 블록체인 산업 역시 현재 자본이 집중되며 미래를 준비하고 있는 단계“라고 설명했다.
다만, 박용범 학회장은 “초기 단계에서는 다양한 비즈니스가 등장할 수 있도록 진입장벽을 낮춰 사업자들이 활발히 도전하고 시도할 수 있게 해야 한다“면서도 “운영과 관리를 책임지는 주체에 대한 규제는 엄격히 이뤄져야 한다“고 조언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