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가 웹3 기술 채택과 혁신의 중심지로 거듭나고 있다. 높은 인구와 경제적인 비중, 강력한 사용자와 개발자 기반 덕분에 아시아는 글로벌 블록체인 성장을 이끌고 있다. 성공적인 진출을 위해 각국별 맞춤 전략과 온체인 데이터 분석이 필수적이다.
김규진 타이거리서치 대표는 3일 서울 여의도 Two IFC 3층 더 포럼에서 열린 ‘블록페스타 2024: Feature of Web3 Industry’에서 “아시아에는 3억2000만 명 이상의 가상자산 사용자와 깃허브에 등록된 개발자만 5000만 명을 넘는 큰 시장이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는 아시아가 웹3 기술과 블록체인 생태계에서 핵심 역할을 하고 있음을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듄 애널리틱스에 따르면 아시아 지역의 유니스왑(UNI) 거래 수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탈중앙화거래소(DEX) 거래에서 의미 있는 성장을 보였다. 이는 아시아 사용자의 활발한 활동을 반영해 해당 지역의 가상자산 서비스 이용이 활성화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하지만 언어와 규제의 복잡성 때문에 기업들이 시장 진입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김 대표는 “아시아는 각국마다 상이한 규제 프레임워크와 문화적 차이로 인해 매우 복잡한 시장”이라며 “이를 해결하려면 지역별 맞춤 전략과 온체인 데이터 분석이 필수적”이라고 강조했다. 그는 아시아의 독특한 슈퍼앱 문화를 예로 들며, 이러한 문화가 가상자산 시장에서도 이어질 것으로 전망했다.
김 대표는 톤(TON)을 사례로 지목하며, 텔레그램 사용자들에게 지갑 기능을 제공해 가상자산 송금, 결제, 투자 등의 서비스로 사용자 유입을 이끌어냈다고 밝혔다. 그는 “디앱과 메신저의 결합이 웹3 대중화를 촉진할 수 있음을 톤의 사례가 보여준다”며 “온체인 데이터를 분석해 시장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결론지었다.
한편, 타이거리서치는 지난 2021년 설립되어 아시아 웹3 시장 전문 리서치와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하며 글로벌 웹3 프로젝트의 아시아 진출과 확장을 지원하고 있다.
*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3일, 16:2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