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의 관세 부과 위협이 미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약화시킬 수 있다는 분석이 나왔다. 뉴욕타임스(NYT)는 5일(현지시간) 이를 보도하며 전문가들의 우려를 전했다.
트럼프는 지난여름 공화당 전당대회에서 미국 달러의 기축통화 지위를 지키겠다고 공약했다. 그러나 최근 브릭스(BRICS) 국가들이 달러를 대체하는 화폐를 만들려 할 경우 100% 관세를 부과하겠다고 위협했다. 이는 공약 이행을 위한 조치로 보인다. 트럼프는 소셜미디어를 통해 브릭스가 미 달러를 대신하도록 허용하지 않겠다고 밝히며, 그런 시도를 하는 나라는 미국에 작별 인사를 해야 할 것이라고 경고했다.
전문가들은 트럼프의 위협이 오히려 미 달러의 약화를 초래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에스와르 프라사드 전 국제통화기금(IMF) 중국 부문 대표는 브릭스 화폐가 아직 만들어지지도 않았는데 보복 운운하는 것은 미국이 달러를 경제적·지정학적 지배 수단으로 사용하는 것에 대한 우려만 키울 것이라 지적했다. 미 달러는 제2차 세계대전 이후 세계 기축통화 지위를 유지하며 외환보유고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러나 최근 브루킹스연구소에 따르면, 달러의 외환보유 비중은 2000년 70%에서 올해 59%로 감소했다. 중국과 러시아는 미국의 제재를 피하기 위해 외환보유고를 금과 다른 화폐로 전환하는 추세다.
중국과 러시아는 자국 통화를 국제 거래 수단으로 확대하려는 노력을 기울이고 있으며, 브라질은 브릭스 국가 간 결제를 위해 새로운 화폐를 도입하자고 주장했다. 그러나 전문가들은 실현 가능성이 낮다고 본다. 영국 경제연구기업 캐피털 이코노믹스는 중국과 인도의 갈등으로 경제 동맹이 어렵고, 회원국들이 새로운 화폐를 교환하는 과정에서 추가적인 어려움이 발생할 것이라고 분석했다.
달러가 기축통화로서 가지는 이점은 미국의 자금 조달 비용 절감과 수입품 가격 안정에 기여하며, 미국의 제재 능력을 강화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 같은 지위는 미국의 지속적인 무역 적자에 의존한다. 일본 노무라연구소는 이를 1950년대 로버트 트리핀이 제시한 ‘트리핀 딜레마’로 설명했다. 트럼프는 관세 부과를 통해 무역 적자를 줄임으로써 달러의 신뢰도를 유지할 수 있다고 본다. 하지만 이는 단기적으로는 중국 등 경쟁국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고, 장기적으로는 각국의 달러 이탈을 부추길 가능성이 크다. 제프리 프랭클 하버드대 경제학 교수는 억지로 달러 사용을 강제하는 것은 불가능하다며, 트럼프의 정책이 역효과를 낼 수 있다고 경고했다.
* 이 기사는 2024년 12월 06일, 14:0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