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오수환 기자] 국내 디지털자산(가상자산) 거래소의 불투명한 유통량 구조가 이번 무브먼트 사태의 피해를 키웠다는 지적이 제기되고 있다. 유동성에 대비한 명확한 기준 없이 거래가 이뤄진 탓에 투자자 피해가 더욱 커졌다는 것이다.
13일 업계에 따르면 금융감독원은 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 코인원에 상장 후 시세가 급변한 무브먼트(MOVE)에 대한 경위 파악에 나섰다. 지난 9일 오후 8시 코인원에 상장된 무브먼트는 낮은 유동성으로 인해 체결 가격이 급등락하면서 다수의 국내 투자자들에게 피해를 입혔다.
당시 코인원에 기준가 215.3원에 거래를 시작한 무브먼트는 거래 초반 적은 유동성으로 인해 거래가 일어나지 안았지만 약 40분 뒤 99만8500원에 거래가 체결되며 기준가 대비 약 4600배 높은 가격에 매수가 이뤄졌다. 이후 가격이 급락하기 시작한 무브먼트는 거래 개시 1시간 만에 5000원 아래로 떨어졌다.
이번 사태의 원인은 낮은 유동성에 있다. 무브먼트 토큰이 출시된 당일 바이낸스, 업비트, 빗썸 등 국・내외 거래소가 동시 상장을 발표하며 물량이 분산됐고, 코인원 역시 충분한 물량을 확보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문제는 이처럼 충분한 수량을 확보하지 못한 상태에서 무리하게 거래 지원을 시작했다는 점이다.
한 업계 관계자는 “각 거래소가 유통 물량을 확보하기 어려운 여건 속에서, 코인원이 선제적으로 거래 지원에 나서면서 유동성 관리에 허점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거래 지원을 위한 물량 확보에 절대적 기준이 없다는 점도 근본적인 문제로 꼽힌다. 디지털자산 거래소들은 일반적으로 상장 시 고객 자금, 발행 재단 물량, 이벤트 물량 등을 활용해 유통 물량을 확보한다. 이를 위해 거래소들은 거래 개시 전에 입출금을 미리 받는 경우가 많지만 유동성에 필요한 디지털자산 수량에 대한 명확한 기준은 없는 상태다.
한 국내 거래소 관계자는 “가상자산마다 수요가 다르기 때문에 유동성에 대한 절대적인 기준을 마련하기는 어렵다”면서도 “이번 무브먼트의 경우, 다른 가상자산에 비해 물량 확보가 어려워 각 거래소가 기존보다 적은 수량으로 거래 지원을 계획한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업계 관계자는 “코인원이 무브먼트를 먼저 거래 지원한 이후 업비트와 빗썸도 유동성을 고려해 (거래지원일을 늦춰) 거래를 지원한 점을 보면, 거래소마다 유통 물량 확보 기준이 제각각이거나 명확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며 “상장 시점과 유통량 관리의 혼란이 피해를 키웠다”고 말했다. 이어 “이어 실시간 대응을 위해 체계적인 대책 마련이 필요해 보인다”고 조언했다.
이에 대해 코인원 관계자는 “거래 지원 규정에 대해서는 밝히기 어렵다”고 말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