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당선인의 취임식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한국 시간으로 다음 달 21일 새벽 2시에 취임식을 열고 대통령직을 수행할 예정이다. 대선 기간 동안 친 디지털 자산 성향을 보여 온 트럼프의 재선 성공에 가상자산 업계는 환호했고, 가격은 급등했다. 특히 트럼프 가족이 운영하는 탈중앙화 금융(DeFi) 프로젝트 월드 리버티 파이낸셜(WLFI)의 존재는 시장에 긍정적인 신호로 작용했다.
투자자들 사이에서는 WLFI가 매입한 알트코인들이 트럼프 행정부의 정책 수혜를 받아 가격이 상승할 것이라 기대하고 있다. 이로 인해 해당 프로젝트가 매입한 가상자산의 가격이 급등하는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만 트럼프 행정부 출범 이후 해당 프로젝트가 이해 상충의 우려가 제기될 수 있어 주의가 요구된다.
온체인 분석 플랫폼 아캄에 따르면 WLFI로 추정되는 주소에 약 7484만 달러(약 1112억 원) 상당의 가상자산이 보관되어 있다. 이 중 이더리움(ETH)이 약 71%를 차지하며, 총 1만6443 이더를 보유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지난 9월에 출시한 디파이 플랫폼 WLFI는 트럼프 일가가 주도한 프로젝트로 사용자들이 가상 자산을 대출하고 투자할 수 있다. WLFI라는 자체 토큰도 보유하고 있으며, 트럼프의 장남 도널드 트럼프 주니어와 차남 에릭이 추진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WLFI는 이번 달 공격적으로 알트코인을 매수하며 이더리움, 링크(LINK), 아베(AAVE), 온도 파이낸스(ONDO)를 추가로 확보했다. 특히 지난 15일, WLFI가 25만 달러(약 3억6000만원) 상당의 온도를 매입했다는 소식이 전해지며 온도 가격이 급등했다.
트럼프 행정부는 주요 금융당국 수장에 친가상자산 인사를 임명하고, 규제 완화 정책을 추진할 것으로 예상된다. 이에 따라 트럼프 테마 코인들이 새 행정부 아래에서 정책적 수혜를 받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고 있다. 다만 WLFI를 중심으로 수혜를 받을 가상자산을 주목하는 투자자들이 늘고 있지만,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도 적지 않다.
월스트리트 저널은 WLFI 프로젝트가 트럼프 대통령 취임 이후 여러 문제를 야기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기업들이 가상 자산 규제 완화를 목적으로 해당 프로젝트에 투자할 수 있어 이해 상충으로 번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토냐 에반스 펜실베니아 주립 디킨슨 로스쿨 교수도 “트럼프가 가상자산 규제를 완화하려는 정책은 자신의 플랫폼에 이익을 줄 가능성이 크다”며 “이는 자기거래에 대한 우려를 더욱 증폭시킬 수 있다”고 분석했다.
또한 WLFI가 트럼프와의 연관성 외에는 뚜렷한 경쟁력을 보여주지 못한다는 지적도 나왔다. 캐슬린 브레이트만 테조스 최고경영자(CEO)는 “트럼프 일가의 참여 외에 특별한 경쟁력을 찾기 어렵다”며 “이더리움 기반 대출 시장은 이미 포화 상태로 오랜 역사를 가진 대형 기업들이 이미 주도하고 있다”고 밝혔다.
* 이 기사는 2024년 12월 27일, 14:34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