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은행은 내년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최대 2회 금리 인하를 단행할 것으로 전망했다. 금리 동결 가능성도 배제되지 않는다. 이에 따라 내년 초 달러 강세가 지속될 것으로 예상된다.
30일 공개된 한은 외자운용원의 ‘2025년 글로벌 경제여건 및 국제금융시장 전망’ 보고서는 연준의 디스인플레이션 진행에 따라 금리 인하폭이 25~50bp에 이를 것으로 예상했다. 내년 연말 미국 정책금리 상단은 4.00% 또는 4.25%가 될 전망이다.
금리 동결 가능성도 있다. 트럼프 정부의 관세 정책이 인플레이션을 자극할 수 있기 때문이다. FOMC 위원들은 트럼프 정책이 인플레이션 상방 위험을 키운다고 평가했으며, 제롬 파월 연준 의장도 일부 정책 효과를 전망에 반영했다.
고금리 정책과 미국 경기 호조로 인해 내년 미국 달러화는 강세를 보일 것으로 예상된다. 이윤아 조사역과 김다인 조사역의 분석에 따르면 트럼프 정부의 관세, 이민, 감세 정책이 디스인플레이션 정체 우려와 맞물려 달러화 강세를 부추길 전망이다. 미국 경제의 견조한 펀더멘털과 다른 국가들의 경기 부진도 달러 강세 요인이다.
다만, 연초에 달러 강세가 두드러질 것이지만 이후 정책 시행 한계와 다른 국가의 금리 인하 영향으로 완화될 수 있을 전망이다. 트럼프 정책의 관세는 인플레이션 우려로 축소되거나 점진적으로 시행될 가능성이 있고, 글로벌 수요 감소로 인한 에너지 가격 하락이 인플레이션 억제 효과를 낼 수 있다.
한편, 달러지수는 트럼프 당선과 12월 FOMC를 거치며 108선으로 상승했다. 최근 윤석열 대통령의 비상계엄과 한덕수 국무총리 탄핵으로 외환시장이 크게 요동쳤다.
* 이 기사는 2024년 12월 30일, 12:3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