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욕타임스(NYT)의 인기 팟캐스트에서 올해에도 밈코인 흥행이 지속될 것이라며, 새롭게 출시된 밈코인 중 일부가 시가총액 1000억 달러까지 급등할 수 있다고 전망했다. 현재 시가총액이 가장 큰 밈코인은 도지코인(DOGE)으로, 580억 달러 수준이다.
NYT 기술 전문 기자들은 팟캐스트에서 밈코인이 급속도로 확장되는 이유로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를 통한 밈(MEME) 효과를 꼽았다. 지난해 여름 미국 SNS를 뒤집어 놓은 할리 웰치의 거리 인터뷰 사례가 대표적이다. 당시 웰치가 언급한 성적인 의성어 ‘Hawk Tuah’가 삽시간에 확산되며, 웰치는 SNS 스타가 됐다. 웰치는 지난해 12월 4일 밈코인(Hawk)을 발행했으며, 이는 시총 4.9억 달러로 급등했다가 몇 시간 만에 90% 폭락했다.
팟캐스트 진행자들은 “밈코인이 단순한 유머에서 출발했지만, 투자자들의 투기 심리를 자극하며 암호화폐 시장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다”고 말했다. 대표적인 밈코인으로 △도지코인(Dogecoin)과 △시바이누(Shiba Inu)가 있으며, 이들은 기술적 혁신보다는 커뮤니티와 대중적 관심에 의해 가치가 형성된다. HAWK 밈코인의 가격 급등 또한 투자자들의 투기적 열망과 밈코인의 대중적 매력, 그리고 소셜 미디어를 통한 바이럴 효과가 결합된 결과로 풀이된다.
NYT는 “코인 제작자들이 장기적인 가치를 제공할 수 있는 실질적인 프로젝트를 제시하지 못한다면, 대중의 관심이 급격히 식을 위험이 있다”고 경고했다.
* 이 기사는 2025년 01월 05일, 10:01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