액세스 프로토콜(ACS)이 2025년 로드맵을 공개하고 중요한 계획을 발표했다. 파운더 안드레아스 니콜로스(Andreas Nicolos)는 신년 첫 행사에서 플랫폼의 향후 방향성과 글로벌 확장을 위한 전략을 소개했다. 그는 “지난해 여러 통합 파트너와 혁신적인 변화를 이루었으며, 올해는 이를 표준화해 창작자와 사용자 모두에게 일관된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고 밝혔다. 또한, 미디어 파트너들과의 협업을 통해 통합 시스템을 개선하고 사용자 편의성을 높일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액세스 프로토콜은 다양한 통합 파트너와 협력해 콘텐츠 확산을 도모해왔다. 올해에는 동남아시아와 라틴아메리카를 중심으로 콘텐츠 확장을 강화할 예정이다. 안드레아스는 “태국, 베트남, 필리핀 등 동남아 지역과 라틴아메리카의 유망 창작자 및 연구자들을 플랫폼에 유치하고, 각 지역별 언어 지원을 통해 현지화된 콘텐츠 경험을 제공할 것”이라며, AI 기술 도입으로 콘텐츠 번역 및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강화할 계획도 밝혔다.
안드레아스는 “AI 에이전트가 창작자의 작품을 자동 홍보하고 사용자의 피드백을 기반으로 상호작용할 수 있도록 개발 중이며, 이 AI 에이전트는 콘텐츠를 분석하고 트렌드를 예측해 구독자들과 소통을 돕는 역할을 할 것”이라고 말했다. 현재 액세스 프로토콜은 일일 약 2000명의 활성 사용자를 보유하고 있으며, 향후 수백만 명의 사용자가 참여하는 플랫폼으로 성장시키고자 한다. 이를 위해 사용자 보상 프로그램과 다양한 기능이 포함된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개발 중이다.
안드레아스는 “우리는 창작자와 사용자가 더 나은 환경에서 소통하고 성장할 수 있는 공간을 만드는 것이 최종 목표”라며, “액세스 프로토콜은 전 세계적인 콘텐츠 허브로 자리매김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행사는 청중들의 질문과 소통으로 마무리됐으며, 액세스 프로토콜은 매주 주요 소식을 전하는 자리를 마련할 계획이다.
### 액세스 프로토콜의 글로벌 확장 목표
올해 주요 목표는 △동남아시아 △라틴아메리카 등 신규 지역을 중심으로 콘텐츠 확장을 강화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새로운 사용자와 창작자들에게 기회를 제공하고, AI 기술을 활용해 사용자 맞춤형 경험을 제공할 계획이다.
* 이 기사는 2025년 01월 06일, 12:55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