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시스 최윤서 인턴 기자] = 스마트폰을 보면서 밥을 먹는 등 식사에 온전히 집중하지 못하는 ‘산만한 식사’가 체중 증가와 직접적인 연관이 있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지난 9일(현지시각) 워싱턴포스트(WP)는 네덜란드 라이덴대학 연구팀의 연구 결과를 토대로 ‘산만한 식사는 체중을 증가시킬 수 있다’는 제목의 기사를 보도했다.
보도에서 연구팀은 산만한 식사는 과식을 유발하고, 단시간에 허기를 느끼게 하며 제대로 음식의 맛을 감지하는 것도 방해한다는 결과를 발표했다.
연구를 주도한 로테 반 딜런 라이덴대학 사회심리학과 교수는 WP에 “식사 중 스마트폰 사용과 같은 다른 일을 하는 것은 뇌의 신호를 방해해 식사를 온전히 즐기는 것을 방해한다”고 밝혔다.
보통 식사를 하면 뇌에서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인 GLP-1(글루카곤 유사 펩타이드 1)와 렙틴 등이 분비되는데, 이 과정에서 주의가 산만해질 경우 포만감이라는 호르몬의 신호를 제대로 감지하지 못한다는 게 그의 설명이다.
연구팀은 GLP-1, 렙틴과 같은 포만감을 느끼게 하는 호르몬들은 분비되는 데 약 20분이 소요되는데, 주의가 산만해지면 이 호르몬 분비를 감지하는 능력이 떨어져 과식을 유발할 수도 있다고도 덧붙였다.
또 식사를 하는 동안 다른 일에 집중하면 뇌에 인지 부하가 발생해 음식의 제대로 된 맛과 향을 감지하는 능력도 저하된다고 연구팀은 설명했다.
이를 두고 로테 반 딜런 교수는 “현대인들은 언제 어디서나 모든 것을 할 수 있게 됐지만, 이는 건강한 식습관에는 좋지 않다”며 “더 많이 먹는데도 식사를 즐기지 못하는 건 비극적인 일”이라고 평가했다.
실제 연구팀이 42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인지 과제의 난이도에 따른 맛 감지 능력을 실험한 결과, 어려운 과제를 수행하며 레모네이드를 마신 그룹은 쉬운 과제를 수행한 그룹보다 50% 더 많은 당을 섭취하고도 단맛을 덜 느꼈다.
같은 연구팀이 46명의 참가자들을 대상으로 진행한 후속 연구에서도 두 그룹은 같은 당도의 설탕물을 마셨지만, 쉬운 과제를 수행할 때보다 어려운 과제를 수행할 때 단맛을 덜 느낀다는 결과가 나왔다.
또 어려운 과제를 수행할 때 인간의 뇌 영역 중 미각 처리를 담당하는 섬엽과 고차원적 인지에 활성화되는 전전두엽 피질의 활동이 감소한 것 역시 확인됐다.
이 외에도 연구팀은 주의 산만한 식사가 단맛 뿐만 아니라 쓴맛, 신맛, 짠맛 등 모든 맛의 감지 능력을 저하시킨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지난해 연구에서는 주의 산만한 식사가 식사의 만족도를 저하시켜 과식을 유발할 가능성이 높다고도 제시했다.
전문가들은 식사를 할 때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 기기를 끄거나 치우고, 식사 자체의 즐거움에 온전히 집중하는 습관이 필요하다고 강조한다. 이른바 ‘마음챙김 식사’다. 또 의식적으로 식사 속도를 늦추고 음식의 맛과 향, 식감 등을 충분히 음미하는 습관을 들여야 한다고 전했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