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폐 시장은 14일 뉴욕 증시 개장을 앞두고 비교적 안정된 분위기 속에서 숨고르기 중이다. 시장은 잠시 후 발표될 미국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를 기다리고 있다.
비트코인 등 디지털 자산 시장은 전일 뉴욕 증시 마감 무렵 반등을 시작해 강력한 흐름을 보였다. 비트코인은 이 날 새벽 한때 9만7000달러를 회복한 뒤 약간의 반등폭을 반납했다.
이번 반등의 주요 요인으로는 △저가 매수세 △트럼프 행정부의 친암호화폐 정책 기대감 △기관들의 지속적인 비트코인 매입 등이 꼽힌다. 그러나 암호화폐 시장은 최근 연방준비제도(Fed)의 매파적 정책 추진 가능성과 그에 따른 달러 강세 등 악재로 압박을 받아왔다.
비트와이즈 유럽의 리서치 책임자 안드레 드라고쉬는 비트코인이 9만 달러 아래로 일시 하락한 것과 관련해 “지금의 비트코인 가격이 저렴하지 않다고 생각할 수 있는지 이해할 수 없다”고 밝혔다.
시장은 연준의 향후 통화정책에 대한 새로운 단서를 찾기 위해 이번 주 발표될 미국의 인플레이션 데이터를 기다리고 있다. 12월 생산자물가지수(PPI)는 화요일, 소비자물가지수는 수요일 발표된다. 인플레이션 압력이 예상보다 강력할 경우 암호화폐와 주식 등 위험자산에 부정적 영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 반면, PPI와 CPI가 예상에 부합하거나 중립적이면 위험자산의 반등 촉매제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뉴욕 시간 14일 오전 8시 18분 코인마켓캡 기준 암호화폐 시가총액은 3조3200억 달러로 24시간 전 대비 5.30% 증가했다. 비트코인은 9만5974 달러로 5.12% 상승했고, 이더리움은 3185 달러로 3.67% 올랐다. 이와 함께 주요 알트코인들도 모두 반등했다.
시카고상품거래소(CME) 비트코인 선물은 1월물이 9만6400 달러로 2.66%, 2월물이 9만7355 달러로 2.86% 상승했다. 이더리움 선물도 1월물이 3198 달러로 3.13% 올랐다.
달러 지수는 109.64로 0.28% 하락했으며, 미국 국채 10년물 수익률은 4.792%로 보합세를 보였다.
* 이 기사는 2025년 01월 14일, 22:25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