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블록미디어 명정선 기자] 15일 암호화폐 무기한 선물시장에서 총 1억3600만 달러 규모의 포지션이 청산된 것으로 나타났다. 비트코인이 9만7000달러를 돌파하며 안정적인 상승세를 보이자, 하락에 베팅한 숏 포지션이 대거 청산된 것이 주요 원인으로 분석된다.
코인글래스(CoinGlass)에 따르면, 비트코인(BTC)은 5612만 달러의 청산 규모를 기록하며 가장 큰 영향을 받았다. 이더리움(ETH) 역시 3518만 달러로 두 번째로 큰 청산 규모를 보였다. 두 코인 모두 숏 포지션 청산이 압도적으로 많아, 단기 투자자들의 하락 베팅 실패가 두드러졌다.
#알트코인 고레버리지 숏포지션 일제히’청산’
알트코인 중에서는 △리플(XRP) 1252만 달러 △도지코인(DOGE) 804만 달러의 청산이 발생하며 상당한 손실을 기록했다. 솔라나(SOL), ADA(카르다노) 등 주요 알트코인뿐 아니라 소규모 암호화폐들도 청산의 여파를 피하지 못했다.
단기 투자자들이 하락을 예상하며 레버리지를 활용해 숏 포지션을 늘렸으나, 고레버리지 비중이 높아 가격 상승에 버티지 못하고 청산된 것으로 분석된다.
거래소별로는 바이낸스(Binance)가 7984만 달러로 가장 큰 청산 규모를 기록했다. 이는 전체 청산 금액의 절반 이상을 차지하며, 시장의 변동성이 바이낸스 사용자들에게 큰 영향을 미쳤음을 보여준다.
그 뒤로는 △OKX 3935만 달러 △바이빗(Bybit) 3805만 달러 △Gate.io 1558만 달러 △HTX(구 후오비) 1271만 달러 순으로 청산 규모가 이어졌다.
#펀딩비율 대부분 중립…온도(ONDO)·니어(NEAR) ‘음수’
한편, 이날 선물시장에서 주요 코인들의 펀딩비율은 대부분 중립을 유지한 가운데, 온도파이낸스(Ondo Finance)와 니어 프로토콜(NEAR Protocol)의 펀딩비율이 음수로 전환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숏 포지션이 롱 포지션에 펀딩 이자를 지급한다는 의미로, 해당 코인에 하락을 예상한 숏 포지션 비중이 상대적으로 매우 높다는 얘기다.
같이 보면 좋은 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