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내 디지털자산 거래소에서 거래량이 집중된 ‘김치코인’의 중앙화 비율이 약 70%에 이른다는 조사 결과가 나왔다. 이들 코인은 주로 거래소에 보관되어 네트워크 활성화에는 기여하지 않고, 매수·매도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코인사이렌에 따르면, 368개 디지털자산 중 60개의 중앙화 비율이 평균 69.4%에 달했으며, 대부분 국내 거래소에 집중됐다. 스탯, 스타게이트파이낸스, 알타바 등 일부 코인은 중앙화 비율이 90%를 넘었다. 이는 전체 디지털자산 평균 중앙화 비율 38%와 크게 다르며, 비트코인(6.71%) 및 이더리움(9.53%)과 비교해 더욱 그렇다.
디지털자산이 거래소에 집중되면 매도 압력이 증가해 가격 변동성이 심화될 수 있다. 거래소에만 자산이 머물면 디지털자산의 본래 가치가 퇴색될 우려가 있다. 블록체인 프로젝트의 토큰은 거래 수단뿐만 아니라 거버넌스 참여, 스마트 컨트랙트 실행, 유틸리티 제공 등 네트워크 활성화에 기여해야 한다.
또한, 디지털자산 시장에서 해킹이 증가하고 있어 특정 거래소에 대량의 자산이 집중되는 상황은 위험할 수 있다. 체이널리시스에 따르면 지난해 도난 디지털자산 규모는 약 3조2500억 원으로 전년 대비 21.7% 증가했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한국인터넷진흥원도 가상자산 탈취로 인한 경제적 피해가 발생할 수 있다고 경고했다.
국내에서는 디지털자산의 중앙화 비율이 충분히 고려되고 있지 않다. 디지털자산거래소 공동협의체(DAXA)가 공개한 ‘거래지원 모범사례’에도 거래소 중앙화 비율은 심사 항목에 포함되지 않았다. 거래소는 발행 주체의 신뢰성, 이용자 보호 장치, 기술·보안, 법규 준수 등을 종합적으로 심사하고 이를 분기마다 재평가해야 한다. 네트워크 활동을 객관적으로 측정할 수 있는 ‘중앙화 비율’을 심사 항목에 포함할 필요가 있다.
* 이 기사는 2025년 01월 15일, 17:00 게재된 것으로, 요약해 재전송합니다. 원문 보기 ⇒